권위에 대한 복종
스탠리 밀그램 지음, 정태연 옮김 / 에코리브르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권위에대한복종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1960년 예일대에서 수행된 실험, 학습효과를 측정한다며 벌칙으로 전기충격을 가하는 외양을 띄었지만 사실은 사람이 타인의 권위에 어디까지 복종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전적인 연구였다. 이전에 EBS 다큐에서 본 기억이 있을 만큼 고전적이지만 충격적이었던 실험의 목적과 방법론과 결과가 고스란히 담겼다.

피실험자가 실험진행자를 도와 학습자가 문제를 틀릴 때마다 전기충격을 가한다는 설정인데, 다행히도 실제 충격은 아니고 오로지 학습자의 연기에 의지한다. 결과는 참담하다. 권위자가 부재중이던 자기들끼리 말다툼을 하던 희생자가 바로 옆에서 소리를 지르던 혹은 예일대가 아닌 의심스러운 허름한 연구소이던, 아무려나 '권위자'에 복종하여 최대 450볼트까지의 전기충격을 가하는 피실험자가 여하한 조건에서든 절반이 훌쩍 넘었다.

히틀러 일당들을 우리와는 다른 완전한 악의 무리로 이해하던 전후 사회에서 아렌트가 던진 '악의 평범성'이란 개념은 얼마나 반역적이었던지 그녀는 적잖은 비난과 인신공격을 받았다고 한다. 그 시대 이런 연구를 수행했다는 건 얼마나 도발적이었을지도 차마 상상이 가지 않는다. 그만큼 단단하게 실험의 설계와 의미에 대해 다층적으로 보완하고 가다듬어내어, 결국 저자는 사람이 조직과 권위에 기꺼이 순응하려는 경향성을 짙게 가지고 있다는 것을 설득시킨다.

사회가 자신에게 부여한 역할을 최대한 잘 수행해내려는 마음, 그 나무랄데 없어보이는 마음은 그렇지만 잘못된 리더십, 과학기술이 제공하는 완충장치, 혹은 전문가독재의 세상을 만날 때 다시 한번 지상에 악마를 강림시킬지 모른다. 당장 트럼프와 김정은, 드론 공격이나 핵미사일 발사장치, 그리고 대중이 기꺼이 그 권위를 인정해버린 채 결정을 이양해버리곤 하는 외교관료들이나 정치공학자들이 융합되면 어떨까. 아님 이명박근혜, 고도화된 관료 시스템, 민주적으로 통제되지 않은 국가안보 혹은 국가정보분야의 만남은 어땠던가.

9년이 지날 때까지 우리 모두는 적게는 15와트, 높게는 450와트의 전기충격을 누군가에게 가하고 있던 건지도 모른다. 그게 비록 조직화되고 문명화된 삶을 영위하는 인간의 피치못할 생리라 하여도, 그에 대한 죄책감과 반성 역시 또다른 인간의 생리일 거다. 실험 자체에 대한 정밀한 보고서일 뿐이지만 그 안에서 매순간 순응하고 반응하는 인간군상의 모습을 겹쳐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