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과 감각의 한국디자인 문화사 - 우리가 사랑한 물건들로 본 한국인의 자화상
조현신 지음 / 글항아리 / 2018년 6월
평점 :
절판


자동차, 소주, 담배, 전화기, 간판 그리고 심지어 과자에 이르기까지 쉼없이 쏟아지는 다방면의 신제품들은 무엇보다 새로운 디자인으로 시선을 끈다. 다른 것들과 차별화되고 선망받기 위해 실험적인 디자인도 서슴지 않으며, 때로는 뜬금없이 외국이나 과거의 전통을 소환하기도 하는 등 일견 어느 방향으로 튈지 알 수 없는 외피를 두르곤 하는 거다.
.
그렇지만 그 혼란상에서도 거시적인 트렌드를 찾아내는 게 소위 디자인문화사의 관점. 조선말기에서부터 일제강점기와 경제발전기를 지나 현재에 이르기까지, 제품들의 디자인에는 대중이 공유하는 무의식과 시대적 과제를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는 지적이다. 소주와 담배 라벨의 변천을 통해 미적 감각과 농촌 고향에 대한 태도 병화를 읽어내는가 하면, 일제강점기의 초등 국어교과서가 '소' 그림으로 시작하는 데에서 피지배민에게 주어진 덕목을 읽어낸다.
.
굵게 다가오는 대목은 디자인 원천으로서 한국의 전통이 얼마나 부박한지, 그리고 여전히 고유의 미감과 디자인 정체성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는지에 대한 반복적인 사례들이다. 망국의 책임을 진 조선조 지배계층의 문화를 뒷전으로 밀쳐둔 것은 십분 이해할 일이라도 여전히 소심하게 서양과 일본의 디자인을 카피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저자의 안타까움이 짙게 느껴진다.
.
원래 일간지에 연재하던 글들을 모은 책이라 다소 결론이 흐릿하고 희망섞인 전망으로 마무리지어진다는 점이 아쉽긴 하다. 그렇지만 누가 한국의 디자인이 앞으로 어떤 길을 향하리라 자신있게 말할 수 있을까. 그저 지금껏 그랬듯 개별 상품들의 치열한 각개전투 속에서 사후적으로 당대의 무의식과 시대과제를 발견할 수 있을 거다.
.
놀라운 사실 하나, 한국 최초이자 유일한 발효과자 맛동산은 반죽 상태로 이틀동안 국악을 듣고 만들어진다나. 누군가가 팩트 체크를 다시 해보면 좋겠다 싶을 정도로 흥미로운 언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