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 500개 키워드로 익히는 역사상식
휴먼카인드 역사문화연구소 지음 / 휴먼카인드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몇 해 전 뉴스에서 우리나라 교육에서 역사의 수능 비중이 너무 낮아지고 있다고 나왔었다. 그로 인해 역사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고 현장에서 교육의 비중 역시 떨어지다 보니 아이들이 역사에 대한 기초지식이 날로 낮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때 기자가 마지막으로 내뱉은 말에 내 가슴이 쿵 하고 내려앉았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습니다.’

 

학창시절 조선왕조 500년이라는 드라마에서 나오는 내용과 때마침 배우던 국사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부분이 같은 시기여서 자연스레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그렇게 싫어하던 암기과목임에도 불구하고 국사는 내가 좋아하는 과목이 되었다. 그리고 성인이 되고 보니 그때 쌓였던 지식의 고마움을 느낀다. 그 지식을 바탕으로 더 깊게 다룬 책도 접하게 되고 나름 역사의식도 갖게 되었다. 중국의 동북공정, 일본의 역사 왜곡을 다룬 이야기에 나름의 기준을 갖고 의견을 내놓을 수 있는 수준이 된 것이다. 그런데 요즘 학생들에게 6·25는 육 점 이오라고 불리기도 하고, 일본의 역사 왜곡은 한류의 힘으로 막을 수 있다고 천진난만하게 말하기도 하는 것을 보고 우린 이미 ‘역사를 잊은 민족이 되어가는 것일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제 두 아이의 엄마가 된 지금, 나는 우리 아이들에게 역사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가르쳐야하나 걱정이 앞선다. 단순히 학교 교육에 모두 맡기기엔 입시 위주의 시스템에서 우리 아이들이 제대로 접할 수 있을 지도 걱정이고, 그래서 나의 지식을 중간 점검하기 위해 선택한 책이 바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였다. 제목이 그때 그 뉴스를 전한 기자의 멘트와 똑같았다. 물론 이 말이 그 기자가 제일 먼저 한 말이 아니라 인용한 말이라는 것을 알았지만 그래도 이 책의 제목은 내 가슴을 움직였다.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기초가 되는 내용이 담겨있다.

깊게 다룬다기보다는 가벼운 터치감이 느껴지는 구성으로 간략한 것이 매력이다.

시대 순으로(혹은 같은 시대 나라 별로) 나열되어 ‘명칭/의미/설명’의 구조로 한 페이지를 채운다.

예를 들면

 

방곡령(조선 1889~1890년)

의미 - 조선 고종 때 일제의 약탈적인 곡물 유출로 인한 식량난을 해소하기 위해 곡물 유출을 금지한 명령

설명 - 방곡령 실시 1개월 전에 일본 측에 통고해야 한다는 조·일 통상장정의 규정을 근거로 일본 측이 거세게 항의하여 결국 방곡령은 거액의 배상금만 물어준 채 실패로 끝나게 되었다.(p322)

 

부담 없이 접하기 좋다. 국사 교과서를 읽어본 사람이라면 어렵지 않게 기억을 되살리면 될 것이다. 하지만 종종 기억의 거 끝자락에서 헤매는 것들이 보이고, 안개에 가려 전혀 보이지 않는 것도 있으며, 아주 생소한 것도 있기도 하다. 이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역사 지식에 달려 있다.

과연 나는 역사를 잊은 민족일까 아닐까? 아니면 잊어가고 있지는 않는지 확인해 봐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