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껴쓰기로 연습하는 글쓰기 책
명로진 지음 / 퍼플카우콘텐츠그룹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뭐든지 처음에는 쉽다. 처음이라 새롭고 신선하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뭐든 처음에는 어느 정도 빨리 배우는 게 당연하다 싶다. 그런데 어느 정도 단계를 넘어가기 시작하면서 전문가 정도의 소리를 듣기는 쉽지 않다. 익숙한데서 오는 재미의 반감, 그리고 보이지 않는 장벽 등 그래서 세상엔 전문가보다 어설픈 전문가들이 넘쳐난다. 그러나 요즘엔 취미로 시작한 일이 직업이 되고 전문가의 길로 들어선 이들도 많다. 그러나 전문가의 경계선이 모호한 일도 많다. 그 중에 글 쓰는 작가가 있다. 글 좀 쓴다는 소리 좀 들어봤던 학창시절을 경험한 이들도 많고, 나이가 들어 뒤늦게 작가의 세계로 입문하는 경우도 있으며 대학 전공을 문학을 선택하는 이들도 있다. 그러나 그 어떤 경우에도 전문 작가의 경계선은 모호하다. 일단 출판한 책이 기준이 되는 것이 요즘이다. 그러나 출판하는 책은 글을 쓰는 사람들에 비해 지극히 적으니 작가 지망생은 세상에 넘쳐난다. 희곡, 시나리오, 방송 대본, 소설, 에세이, 여행 등 다양한 장르의 작가 지망생들. 그들 중 떳떳하게 작가라는 이름을 밝힐 수 있는 그 날을 꿈꾸며 오늘도 열심히 글을 쓰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결코 작가만이 글을 잘 써야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요즘엔 컴퓨터 작업으로 필체는 이미 상관없는 세상이 되었지만 여전히 멋진 필체와 필력은 세상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멋진 스펙이 된다고 생각한다. 여기에 이런 생각을 가진 이들을 위해 글쓰기 비법을 내놓은 책이 있다.

 

<베껴 쓰기로 연습하는 글쓰기 책>

뭐 대단한 비법이 아니라는 것은 제목만 봐도 얼추 예상이 가능할 진데 막상 꺼내 놓는 비법을 보면 더욱 가관이다. 비법을 말해준다더니, 행갈이를 제일 먼저 들이댄다.

 

1강 보기에 좋은 글이 읽기도 좋다 - 행갈이와 들여쓰기

2강 글을 살아있는 생물로 대하라 - 글쓰기의 형식

3강 작가들도 다른 작가의 글을 베껴 썼다 - 베껴 쓰기로 연습하기

4강 우리는 왜 쓰려 하는가 - 글쓰기의 좋은 점

5강 무엇을 쓸지보다 어떻게 쓸지를 생각하라 - 글쓰기의 소재

6강 쉽게 쓰는 게 정답이다 -글을 쉽게 쓰는 법

7강 조사 사용에 주의하라 - 우리 말의 특징(1)

8강 어미를 잘 써라 - 우리 말의 특징(2)

9강 생략된 표현에 주의하라 - 우리 말의 특징(3)

10강 우리말은 이심전심으로 소통한다 - 우리 말의 특징(4)

11강 잘난 척하는 마음을 버려라 - 글을 쓰는 자세

12강 문장을 길게 쓰지 말고 잘라 써라 - 다.다.다. 사랑하기

13강 그리고 그런데 그래서? 어쩌라고 - 불필요한 접속부사 빼기

14강 새로 나온 샴페인과 진짜 콜라 - 꾸미는 말과 꾸밈 받는 말

15강 주어와 술어를 어울리게 써라 - 주어-술어 호응

16강 소래 내 읽으며 어색한 문장을 찾아라 - 비문 고치는 법

17강 한 번에 하나씩 써라 - 좋은 구성이란

18강 단순하면 단순할수록 좋다 - 멋 부리지 않는 글쓰기

19강 다이어트 글쓰기 - 글 고치는 법

20강 독자의 입장이 되라 - 글을 분명하게 쓰는 법

21강 독자의 이해를 구하지 마라 - 여지를 남기는 글

22강 글은 이어진 사슬이다 - 긴장감 있는 글

23강 글을 쓰려면 탄탄한 플롯을 짜야 한다 - 글의 시작과 중간과 끝

24강 흥미롭게 시작해야 독자를 유혹할 수 있다 - 도입부 쓰는 법

25강 화려한 볼거리가 있어야 한다 - 중간 구성 문제

26강 끝을 위한 비장의 무기를 마련하라 - 글의 결말

27강 틀린 부분이 없는지 사전을 찾아라 - 고치고 다듬기

28강 책이 내 것이라야 책 속 내용도 내 것이 된다 - 글쓰기를 위한 책 읽기

29강 기록이 모이면 한 권의 책이 된다 - 메모의 힘

30강 술 취해서 썼냐? - 반복의 위험

 

총 30강의 비법은 제목만 봐도 대충 이해가 간다. 그런데 더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것은 각 장마다 말미에 소개되는 글쓰기 룰이다. 제목보다 친근하게 다가오기에 오히려 이 말 그대로 소제목을 했으면 더 좋았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예를 들어

1강 - 세 줄이 넘어가면 (되도록) 줄을 바꿔라

3강 - 좋아하는 작가의 작품을 베껴 쓴다

5강 -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겠다면 자신부터 분석해 봐라

12강 - 한 호흡에 읽을 수 있게 써라

14강 - 꾸미는 말은 꾸밈 받는 말 앞에 쓴다

16강 - 큰 소리로 읽어가며 고쳐라

… 등이 있다.

 

각 장별로 예시를 들어 비법을 가르쳐주고 다른 색 페이지에는 그 점에 유의하며 베껴 쓸 작품을 실었다. 총 30강에 총 서른 개의 예문이 담겨 있는 셈이다. 그리고 바로 옆에 빈 페이지에 직접 베껴 쓸 수 있도록 구성하여 행동력 있는 독자라면 바로 베껴 쓰기로 연습할 수 있다. 제목에 가장 충실한 구성이라 말할 수 있는 부분이다.

 

시험기간을 앞에 두고 벼락치기 공부처럼 한 호흡에 후다닥 읽을 수 있는 분량이다. 베껴 쓰기 역시 마음만 먹으면 그리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는 분량이다. 여유로운 독자라면 하루에 한 개씩 읽고 써나가는 것도 좋으리라. 대한민국에 글 잘 쓰는 사람이 넘쳐나는 그 날까지 이 책은 계속 개정 출간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