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육의 심리학 - 스스로 도덕과 품성을 기르는 최고의 심리 수업
토니 험프리스 지음, 문은실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세상에서 가장 힘든 농사가 무엇일까?

비교적 어린 나이였던 시절에 선생님께서 툭 내뱉은 질문이었다.

우리들은 그 당시 알고 있던 농사란 농사는 다 말하며 정답을 찾기 위해 소리를 높였다. 선생님께서 정답을 말하면 우리 반 모든 학생들에게 아이스크림을 사준다고 약속하셨기 때문에 아이들은 전에 보이지 않던 협동심을 발휘하며 정답을 찾고자 했다. 그러나 그 선생님께서 그 해에 내셨던 다른 문제들과 달리 그 문제는 정답을 찾지 못했다. 그때 선생님께서는

“자식농사!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은 바로 자식농사다. 너희들을 키우시는 너희 부모님들은 지금 가장 힘든 일을 하고 계신다. 그러니 너희들은 부모님을 이해하고 동정해야한다.”

라고 말씀하셨다. 그리고 정답을 찾지 못한 우리에게 아이스크림을 사주시면서 대신 부모님께 잘 하라고 하셨다. 그때 나는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했지만, 달콤한 아이스크림을 먹으며 선생님말씀에 그냥 고개를 연신 끄덕인 기억이 난다. 대부분의 친구들처럼.




그렇게 나이가 들어 조카들이 태어나고 뜻하지 않게 아이들을 접하는 일을 하게 되면서 그때 선생님께서 하셨던 말씀이 기억나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토니 험프리스의 <훈육의 심리학>은 자식농사가 가장 힘든 일이라는 것을 일깨워주는 책이다. 그리고 우리가 잘못 알고 있었던 것을 일깨워주는 책이다. 교육이란 일방적으로 어른이 아이에게 행하는 것이 아닌 상호적인 것이라는 사실을 이 책은 강조한다. 내 경험에 비추어 이 점은 절대 불변하는 정답이다. 문제 아이 뒤에는 문제 부모, 문제 선생님(아이에게 영향을 끼치는 주변인)이 있다. 즉 아이의 교육, 훈육을 위해선 아이와 부모, 학교와 선생님등 주변 환경이 모두 안정되게 움직여야 하는 것이다.




이 책은 훈육 문제, 아이·부모·교사의 권리, 훈육 문제의 예방과 조정, 훈육을 넘어서, 이렇게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일단은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훈육에 대한 개념을 건드리고 각종 훈육 문제를 나열한다. 그리고 아이·부모·교사의 권리를 말하고, 힘을 키우며 결국 그 권리를 지켜야한다고 말한다. 또한 훈육은 자신과 함께 시작한다는 대전제 하에 가정과 학교에서의 예방, 문제 해결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개인의 훈육을 넘어서 배려하는 공동체를 만들어야한다고 주장한다. 어쩌면 우리가 이미 너무나 잘 알고 있었던 기본이 아닐까? 잊었던 교육의 기본을 이 책은 이렇게 다시 주장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