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덕여왕 1 - 사랑과 권력을 가슴에 품은 최초의 여왕
한소진 지음 / 해냄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역사를 통틀어 여왕을 배출한 시기는 신라뿐이다.

최초의 여왕에 대한 궁금증은 최초라는 단어에 의해 더 증폭되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학창시절 선덕 여왕과 진덕 여왕에 대한 지식은 시험문제에도 나오지 않을 정도로 적은 분량이었고(학창시절엔 시험에 나오는 것이 중요했으니까) 오히려 나이가 들어 동화책으로 나온 이야기를 드문드문 읽었을 뿐이었다. 한 두 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동화책들로 읽었기에(당시에는 어떻게 자료를 찾아야 하는지도 몰랐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서는 다른 일에 쫓겨 여유도 없었다) 시대적으로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기에 솔직히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은 거의 제로에 가까웠다.




그렇게 우리나라 최초의 여왕에 대한 궁금증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버렸고 시간은 흘렀다. 그런데 어느 날 TV방송국에서 드라마로 선덕여왕을 제작한다는 발표가 나면서 나는 다시 그 때의 궁금증을 기억하게 되었고 때마침 선덕 여왕에 대해 발간되는(되었던) 책들을 찾아 나섰다. 그리고 제일 먼저 내 손 안에 들어온 책이 바로 한 소진 작가님의 선덕여왕이었다.




처음.

처음이란 단어를 생각할 때면 보통 기대나 흥분, 설레임을 기억하리라.

많은 사람들이 경험한 것이지만 내가 아직 해보지 않은 것, 운전면허증을 따거나 첫 데이트, 결혼 같은 것들을 하게 된다면….

그러나 처음이란 것은 최초라는 것. 남들이 걷지 않은 길을 굳이 걸어야 하는 가시밭길을 홀로 걷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기에 남들이 경험해보지 못한 것, 사회가 허락하지 않았던 것에 처음으로 도전하게 되는 것은 ‘벽’과의 충돌을 의미하기도 한다. 유교라는 이념이 아직 들어오지 않았던 신라시대이더라도 여자라는 몸으로 왕좌에 오르는 것은 상상할 수 없었던 일이었을 것이다. 그 가시밭길 앞에 장녀도 아닌 차녀 덕만(선덕여왕)이 있었다.




소설 선덕여왕에서는 한국 최초의 여왕, 선덕여왕의 탄생 과정과 지금과 다른 신라시대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특히 성골의 피를 유지한다는 명목 하에 왕족끼리의 결혼은 그렇다쳐도 왕족의 자손을 번영시키는 방법으로 후궁뿐만 아니라 색공이란 신분의 여인들은 가히 새롭다하겠다.(예전에 소설 미실을 통해 이런 제도를 처음 접하고 지금 우리의 가치관으로 이해할 수 없는 제도이기에 눈살을 찌푸린 기억이 난다) 거기에 한반도를 최초로 통일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해낸 김 유신과 통일 신라의 왕 김 춘추, 그리고 색공이란 신분으로 세 명의 왕을 모셨던 미실까지…. 한 사람 한 사람의 인생이 한 작품의 소재가 되기에도 충분한 사람들이 넘쳐난다.

이 책에서는 진흥왕 때부터 진지왕, 진평왕에 이르기까지의 이야기들, 즉 덕만 공주가 아직 태어나기 전에 이야기부터 충분한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색공 미실궁주로 인한 당시 신라 정세, 정치 상황을 충분히 보여준다. 선덕 여왕의 치세보다는 그녀가 여왕으로서 올라서기까지의 이야기들이 박진감 넘치게, 멋진 캐릭터들의 수많은 에피소드들을 보여줌으로써 고대 신라의 역사 세계로 우리를 초대한다.




얼마 전 미국 대통령 선거전에서 버락 오바마가 당선됨으로서 시대가 변한 21세기에서도 여성차별은 인종차별보다 더 높은 벽이라는 것을 일깨워준다는 것을 상징하며 힐러리가 흑인 버락 오바마에게 무릎을 꿇었다. 하물며 한반도, 대한민국에서 여성 대통령의 당선은 신라시대에서 덕만 공주가 선덕 여왕으로 올라서기와 다르지 않을까 한다.

두려움을 이겨내고 최초의 길을 걸었던 여성, 덕만.

비록 백제와 고구려 사이에 끼여 타국의 도움을 받아야 했지만,

스스로 선덕이라 칭하며 자주성을 말했던 여왕, 덕만.

그녀가 여인으로서의 삶을 버리고 여왕으로서의 삶을 살고 성골 마지막 혈통 진덕 여왕에게 왕위를 전해주기까지 그녀의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소설 “선덕 여왕”은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