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하브루타 공부법 - 자녀와 함께 대화로 두뇌를 디자인하는
오혜승 지음 / 다온북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에 엄마들 모임을 통해 하브루타 강연을 처음 듣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육아교육에 이름이 있는 것을 좋아라 하지 않는다. 마치 유행을 쫓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대인 교육에 대해 관심이 있었기에 하브루타에 대해 이런저런 책을 읽게 되었다. 그리고 최근에 우리집에 어울리는 하브루타 교육법을 생각하게 되었다. 게다가 영어 흘려듣기 시작한 아이들과 언젠가는 해외여행을 자유롭게 다니고 영어를 학습이 아닌 언어로 자연스럽게 인지하게 될 것이라는 희망을 갖고 되었다.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는 엄마들과 모임도 하면서 옆집엄마(?)에게 휘둘리지 않기 위해, 중심을 잡기 위해 매일매일 노력중이다.

이 책 <영어 하브루타 공부법>도 이런 나의 노력 중 하나로 선택한 책이었다. 지금 배드 타임을 가지며 아이들과 독서 후 하브루타식 이야기를 짧게 가지며 올해 말이나 내년에는 일주일에 한 번씩 하브루타 토론을 아이들과 함께 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책은 거기에 영어가 첨부되었다. 이 책을 통해 나의 교육관에 도움이 될 것이 있을 거라는 기대감을 갖고 책을 펼쳤다. 그리고 역시나 나의 예상은 적중했다.

1장에서 작가와 나의 생각이 비슷하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가까운 지인들이 내가 영어 공부를 하는 것을 보며 이제 곧 번역기가 나올 텐데, 이제야(다 늙어서 말이죠) 굳이 영어를 공부하냐고 묻는다. 시험을 볼 것도 아니고 일상생활에 쓰이는 것도 아닌데. 영어 번역이 필요하면 어플이 있고 얼마 없으면 더 빠르고 정교한 AI번역기가 나올 거라고. 하지만 나의 생각은 다르다. 언어는 문화다. 문화를 모르고 단순히 언어로 직역을 하면 오류가 생긴다. 이것은 굳이 외국어에 관해서만 아니다. 사투리에서도 그렇고 남북한 말에서도 그렇다.

하브루타 교육에서 영어를 접목하는 것은 우리 가정에서는 미래의 일이다. 하지만 지금부터 조금씩 알아가기 위해 먼저 작가를 통해 영어 하브루타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이다. 2장에 핀란드가 영어를 잘 하는 국민이 아니었는데 이제는 국민의 70%가 영어를 잘 구사한다니 놀랍다. 그리고 그 방식이 지금 우리 아이들이 하는 흘려듣기, 영어 노출과 더불어 짝과 함께 하는 영어를 접목한다면 더욱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좋았다. 특히 영포자 중학생 일화는 마치 학창시절 나를 보는 것 같았다. 3장을 읽으면서 우리 아이들과 베드 타임을 갖는 방식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고 4장과 5장은 짧게는 일이년 후, 길게는 5년 후 우리 아이들과 어떻게 영어로 놀까하는 생각에 방법을 찾게 해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