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빅 엔젤은 멕시칸 미국인이다. 그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비롯하여 한 가족이 미국에 정착하고 살면서 멕시칸 가족의 일상을 보여준다. 그리고 어느덧 일흔이라는 나이에, 마지막 생일을 준비하게 된 빅 엔젤. 그가 암 선고를 통해 이번 생일이 마지막일 거라는 생각에 가족들을 초대하고 미리 준비한 생일 파티, 하지만 일주일 전 빅 엔젤의 어머니가 돌아가신다. 자신의 마지막 생일파티 일주일 전 엄마의 장례식 날, 빅 엔젤은 처음으로 지각이라는 것을 했다.

소설의 몰입감을 높여주는 것 중 하나는 바로 첫 문장이다.

“빅 엔젤은 어머니의 장례식에 지각했다.”는 그런 점에서 매우 높은 평점을 부여해줄 만하다. 총 4부로 구성된 이 소설은 멕시칸의 일반 가정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미국 평론가들로부터 높은 평점을 받은 소설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다문화가정의 한국 정착기로 멋진 소설이 나온 경우가 될 것이다. 그런데 멕시칸 가족의 대화나 문화가 우리에게는 생소하기에 이 작품을 100% 제대로 이해할 수가 있을까 싶다.

예를 들자면 ‘호로자식’이라는 단어가 많이 나오는데 단순히 친분관계에서 나오는 습관적인 욕인지, 빅 엔젤의 아빠가 바람피고 떠났던 것을 이야기하는 것인지, 정확히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호로자식이라는 단어를 우리나라로 치면 이새끼, 저새끼 하는 정도로 이해해야하는 것은 아닌지 고민이 되었다.

우리나라로 치면 1960년부터 2000년대까지 모습과 비교하여 본다면 재미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부장적인 모습, 아버지의 권위, 아들로 이어지는 모습과 아이들은 이제 미국식 개인주의 성향을 보이는 모습 등 다양한 사회변화의 모습은 덤이다.

거기에 빅 엔젤의 암 투병, 얼마 남지 않은 시한부의 삶, 그리고 엄마의 장례식.

2부에서 나오는 빅 엔젤의 과거, 1부에서는 결코 짐작할 수 없었던 빅 엔젤의 과거는 앞으로 이 사실을 빅 엔젤이 회개할 것인가 하는 생각에 이야기가 어떻게 벌어질지 독자들을 더욱 궁금하게 만든다.

아주 재미있고, 가벼운 소설인 듯 보이지만 삶에 대한 철학적인 생각을 들게 하는 무거운 소설이다. 삶의 철학 하면 괜히 무거워 보이지만 이 책은 빅 엔젤을 통해 아주 재미있으면서 가볍게 그들의 가족을 통해, 그를 통해 우리에게 큰 메시지를 남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