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심리학 - 생각하고 기억하고 결정하는, 우리 뇌와 마음의 작동 방식
존 폴 민다 지음, 노태복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지심리학을 전공했다. 학부생일 때와 비교해 보면 (약 15년이 흘렀다) 확실히 심리학은 대중에게 많이 알려졌다. 친숙한 학문이 되면서 경계가 제법 허물어졌고 크고작은 오해들도 상대적으로 많이 줄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지심리학 그 자체는 사람들이 여전히 낯설게 느끼는 것 같다.


1960년대 인지혁명이라는 이름으로 시작을 알린 인지심리학은 사람들이 정보를 지각, 처리, 기억해내는 방식에 대해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그들은 마음이 정보를 처리하고 파지하는 방식을 이해하고자 했다. 행동주의가 눈으로 직접 관찰 가능한 자극과 반응에만 몰두하고, 일종의 (알 수 없는) 블랙박스로 취급했던 심적 능력은 인지심리학의 등장과 함께 다시 심리학 중심에 놓일 수 있었다.


인지심리학의 역사에서부터 뇌, 감각, 주의, 기억, 사고, 개념, 언어, 의사결정, 메타인지에 이르기까지. (그렇다. 이 모든 것이 인지심리학의 관심사다.) 두꺼운 두께만큼이나 인지심리학의 면면과 최신 흐름까지 매우 잘 정리되어 있는 책이어서 매우 좋았다. 저자는 ‘일반인이 읽을 만한 책도 쓰고 싶었고, 그것이 바로 이 책을 집필한 이유‘라고 책 서두에 밝히고 있다. 그런 점에서는 다소 아쉽게 느껴지기도 했다. 일반인의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터. 인지심리학 혹은 심리학에 대한 기본 관심이나 배경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읽어내기에는 다소 불편할 수도 있다. 혹은 사회과학 분야 책을 읽기 힘들어하는 사람들에게도 조금은 어렵게 느껴질 법 하다. 아무래도 쓰이는 용어들이나 개념들 탓일텐데, 그럼에도 심리학 전공 입장에서 바라보면 이 책은 매우 쉽고 친절하게, 심지어는 다정하게 쓰인 책이다.


심리학에는 많은 하위 분야들이 존재한다. 심리학 전반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만큼, 이제는 각 하위분야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가 높아지는 때를 기대하게 된다. 사람이 있는 곳에는 어디에나 있는 심리학. 이유없는 마음은 없다. 그 다양한 모든 마음에 다다르는 이 학문이 많은 이들의 삶에 자연스레 녹아드는 날을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