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달고 살아남기 - 제8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학 65
최영희 지음 / 창비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머리에 꽃을 달았다라는 표현은 정신이 약간 온전치 못한 사람을 비유할 때 쓰곤 한다. 현대 의학용어로는 조현병(정신분열병)’이라고 하며 망상과 환청의 증상을 보인다. 책 제목의 꽃 달고라는 첫 구절도 조현병을 의미한다.

 

이 책은 주인공 박진아가 친구 신우와 인애, 물리선생님과 함께 자아를 찾으러 떠나는 과정을 유쾌하게 담았다.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으로 하동, 진주, 삼천포 등 우리지역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하동 출신 작가덕분에 생생한 사투리를 곱씹어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노인들이 대부분인 작은 농촌 마을에 업둥이로 오게 된 진아. 태어난 순간부터 첫 생리일까지 온 마을이 알고 있는 현실이 괴롭기만 하다. 어느 날, 5일장을 떠도는 꽃년이와 닮았다는 동네 노인들의 이야기를 엿듣게 되고, 친엄마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찾아 나선다.

 

진아는 5일장에서 힘든 일을 겪을 때마다 도움을 주는 어릴 적 친구 신우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하지만 신우가 다른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는 환상의 인물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로 인해 충격에 빠지지만 같은 반 친구 인애와 물리선생님의 도움과 위로로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게 된다.

혼자만의 환상을 보는 진아, 미드 ‘X파일이 생활의 중심인 인애, 일본만화 캐릭터 캐롤과 사랑에 빠져버린 물리선생님. 대부분의 등장인물이 평범하지 않다. 무엇이 미친 것이고 무엇이 미치지 않은 것인지 모호하다. 하지만 서로의 고민을 이해하고 인정해주는 힘은 놀랍다.

 

예민한 청소년기의 다양한 에피소드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그냥 방치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해결해 보라고 독려한다. 고민하고 행동하는 인물들을 따라가다 보면 그들을 절로 응원하고 싶어진다.

 

누구나 저마다의 고민을 안고 살아가고 있으니 걱정 말라 다독인다. 혼자만의 고민에 빠져 주춤하고 있는 사춘기 청소년들에게 정면으로 부딪혀 봐도 괜찮다 말해준다. 옆에서 응원해 주는 사람들이 있으니 용기 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