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 괴물이 된 이십대의 자화상 ㅣ 지금+여기 3
오찬호 지음 / 개마고원 / 2013년 12월
평점 :
참 무서운 세상이다.
어제 본 영화 <연평대전>과 이 책을 덮고 느낀 점이 맞닿은 곳은
없이 사는 서민은, 늘 고통받는 국민은
이렇게 나라를 위해 목숨까지 내놓고 사는데
대체 이 나라 정부는 국민의 안전과 안녕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말이다.
예를들면 100개의 일자리 중 단 2개의 정규직일자리, 나머지는 비정규직 자리.
(알다시피 비정규직들은 정규직과 같은, 아니 어떨땐 더 많은 일을 해낸다. 하지만
월급은 정규직의 50%에 미치지 못할 경우도 허다하다.)
어떻게 된 놈의 세상인지 우리 사회는 정규직이 일할 수 있는 자리를 늘리려는 시도는
묵살하고 단 2개의 정규직 자리를 두고 피 터져라 싸우는 구조를 만들어 놓았다.
물론 기업에선 아주 좋아라 하는 구조다. 그렇기에 절대 바뀌어서는 안되는 구조이기도 하다.
그 말도 안되는 2명에 포함되기 위해 죽어라 죽어라 스펙을 쌓아댄다.
시중에 떠도는 자기계발서는 그 2명의 말도 안되는 이야기를 담아낸다. 사회는 이러니까 열심히 하라고 열심히 정말 열심히 부채질 중이시다.
각종 힐링 서적들은 힘드니까, 아프니까 잠깐 쉬고 멈추었다 옆도 보고 생각도 하면서 있다가 또 기운내서 가란다.
뭘, 도대체 얼마나 더 아이들 고혈을 짜야하냐고. 답답하다.
노동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가진 자들은 계속 더 가지게 되고
노동은 하면 할 수록 가난의 수렁에 빠지는 이 사회가
정말 정당하게 받아들여진다면 우리 사회는 이미 끝난 사회다.
답답한 현실이다.
강신준이 쓴 <공부의 신 마르크스, 돈을 연구하다>와
기업의 노예가 된 한국 대학의 자화상을 담아낸
오찬호의 최근 작 <진격의 대학교>도 꼭 일독하기를 권한다.
자기계발서에서 말하는 너가 열심히 안했기 때문이 아니라
이미 잘못된 공식이기 때문에 답이 없다는 것에 공감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