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2009년 우리시대의 작가 공지영의 신작이다.

작가는 이 소설을 처음 구상하게 된 것은 어떤 신문기사 한 줄 때문이었다고 한다. 젊은 인턴기자의 법정 풍경 스케치 기사였는데 "집행유예로 석방되는 그들의 가벼운 형량이 수화로 통역되는 순간 법정은 청각장애인들이 내는 알 수 없는 울부짖음으로 가득 찼다" 였단다.

이 책은 안개가 모든 것을 가릴 것만 같은 도시 무진시에서 일어나는 거짓과 위선의 숨막힘이다. 청각장애아들을 위한 사학재단 자애학교에서 일어난 성폭력과 아이들의 인권이 짓밟힌 현장의 고백이다. 두 건의 자살사건에도 끄덕하지 않던 가진 자들의 도시 무진은 우리 시대를 대변하는 것만 같아 가슴이 아프다. 

언제나 통용되는 그들만의 세상, 가진자들만이 누릴수 있는 유착고리, 결코 깨지지 않을 그들의 밥그릇...

그 속에서 참을 수 없는 고통과 아픔을 느꼈을 우리의 유리. 연두. 민수.

너무 아파 죽음을 선택해야 했던 두 아이까지..

현실은 고통스럽기만 하다. 그 아이들의 아픔을 달래주고 위로해 주어야 마땅한 어른들은 광란의 도가니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진정으로 정의의 편에서 고통의 편에서 있는 유진, 최목사, 인호, 선생님, 의식있는 사람들... 하지만 그들의 고통을 알아채기에는 이미 우리 사회는 너무 뜨거운 도가니에 들어와 있었다.

 

내 일 아니라고, 내 고통 아니라고 우리는 너무 쉽게 귀를 닫고 눈을 닫아버린 장애인들 이었다.

지금도 고통의 현장에 서 있을 그들의 앞날에 부디 행복이 있기를. 

문득 얼마전 읽었던 유시민의 후불제민주주의에서 인용되었던 시가 떠오른다.

 

선의 연대와 민주주의

                          마르틴 니뮐러

나치가 공산주의자를 잡아 갔을 때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나는 공산주의자가 아니었으니까

그들이 사민주의자를 가두었을 때

나는 침묵했다.

나는 사민주의자가 아니었으니까

그들이 노동조합원을 체포했을 때

나는 항의하지 않았다.

나는 노동조합원이 아니었으니까

그들이 유대인을 잡아갔을 때

나는 방관했다.

나는 유대인이 아니었으니까

그들이 나를 잡아갔을 때는

항의할 수 있는

그 누구도 남아 있지 않았다.

 

...

 

1년여를 그들과 함께 아파하고 고통 받았을 작가 공지영에게 박수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