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폭력이라 부르는 것들 - 교과서에서 배웠지만 잘 몰랐던 폭력 이야기 온 세상이 교과서 시리즈 6
전국도덕교사모임 지음 / 해냄에듀(단행본)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기 아이돌 그룹 멤버, 오디션 프로그램 출연자, 전 프로 배구 선수 등 학폭 가해자에 대한 폭로가 사회면에 오르내리는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미투 운동이 일어나는 곳 또한 방위와 분야를 가리지 않는다. 남모르는 상처를 삭이던 폭력의 피해자들은 이제야 우리 사회 곳곳에서 하나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유형의 폭력에 대한 의식 수준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우리는 모두 천부적 인권을 타고났다는 것, 세상에 맞아도 되는 사람은 없다는 것을 모르는 이가 없다. 가해자가 피해자에 대한 사과 없이 멀쩡히 활동하는 것이 옳지 않다는 여론은 이미 자리 잡았다. 아동 학대를 일삼는 자격 없는 보호자의 뉴스는 국민적 공분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사회구조적·문화적 폭력은 조용한 억압으로 작동하고 있다. 사회구조 안에 내재된 폭력은 인식하기조차 쉽지 않다. 예를 들어 부모라는 이유로 자녀의 미래를 결정하고 진로를 강요하는 것 또한 가정 내 위계에 의한 폭력이라 볼 수 있다. 최소한의 안전을 담보하지 못하는 일터와 주거 환경,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하지 못하는 사회, 노인들의 디지털 소외, 언론에 의해 조장되고 심화된 남녀 갈등 모두 구조적 폭력에 속한다.

 

책은 가정, 학교, 사회 곳곳에서 일어나는 눈에 보이는 폭력뿐만 아니라 상식, 고정관념을 넘나들며 은밀하게 발생하는 형체 없는 폭력을 낱낱이 파헤친다. 첫머리를 열어주는 만화와 더 생각해볼 거리를 제공하는 마침 단락은 주제를 무겁지 않게 전달해 낸다. <기생충>, <, 다니엘 블레이크> 등 영화 소개를 곁들여 한층 이해의 폭을 넓혀준다.

폭력은 그 자체로 불편함과 고통을 주기에 마주하기가 쉽지 않다. 가해자에게 정당한 형량을 부과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나아가 피해자들의 찢긴 마음과 회복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 먼저다. 사회가 연대하고 방관하지 않을 때 어떤 종류의 불의와 폭력에도 맞설 수 있는 평화 백신이 작동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