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구석 판소리 - 조선의 오페라로 빠져드는 소리여행 ㅣ 방구석 시리즈 3
이서희 지음 / 리텍콘텐츠 / 2025년 6월
평점 :
소리는 흥이 있는 옛이야기다. 뚱-뚱뚱뚱-뚱 장구, 북을 치면서 소리꾼이 이야기를 시작한다. "옛날 옛날." (쿵-딴딴) "흥부와 놀부 두 형재가 살았는데" (딱) 이런 모습들이 머릿속으로 그려진다. 흥부와 놀부, 콩쥐 팥쥐, 심청이 등 우리나라 옛이야기를 북과 장구 우리나라 전통 약기로 장단에 맞퉈서 소리내는 공연이다. 이 책을 읽고 나서 김태리가 주연으로 한 드라마 "정년이"가 생각이 난다. 외국에는 오폐라가 있듯이 우리나라에는 판소리가 있다. <방구석 판소리> 조선으로 배경 둔 채한과 해학의 선율이 무너나는 한국계 오폐라 유쾌하고 명쾌하고 슬픔이 있다. 그리고 이 책에는 판소리 하나, 하나의 어디서 시작이 되고 어떤 풍경과 사건, 등장인물, 말투, 표정, 신분, 가문 등 다색 다양한 이야기가 들어있다. 실화으론 믿을 수 없는 별주부 이야기가 나에게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바다속에 사는 용왕님을 살리기 위해 신하를 육지로 내보내 토끼의 간을 가져와라 아런 과제를 주었고 그 신하는 과제를 수행 과정을 우리나라 약기을 연주하는 선율에 맞게 소리꾼이 공연을 한다. 조선 시대에는 시장, 장터 가운데서 시작이 되었다. 그리고 천민들의 한이 깃들 하나의 놀인 뿐이었다. 천민들의 한 깃들 놀이가 세월을 지나, 지나 공연장에서 볼 수 있는 한국계 오페라으로 성장이 되었다. 판소리 중간에 등장인물들의 고조되는 말, 감정으로 인내 공연응 긴장도가 높은 공연이 되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