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44년의 비원 - 새로 읽는 고종시대사
장영숙 지음 / 너머북스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혼란스러운 조선 후기, 그 중심에 있던 고종.

국사책에서  흥선대원군과 명성왕후에 대한 이야기를 더 다루고 있던  

기억이 어렴풋이 나는 지금,

문득 국사책에 황제복을 입고 있던 고종의 사진도 있었지 않았나 떠올려 본다.

 

100년 전의 일제강점기의 시작과 그 시대가 있었다는 사실은 인정하기 싫은

그러나 지금까지도 우리나라 곳곳 뼈마디에 자리잡고 있는 아픈 현실이었다.

 

그 시대의 중심에 있었던 고종. 세종과 영조, 정조년간의 연구에 비해

그동안 연구가 저조했던 '고종시대사'

쓰라진 상처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고 싶지 않았던 점이 고종과 그의 시대를 실패한 역사로 규정하고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태도로 이어졌던 것이라고 작가는 말하고 있다.

 

고종의 왕이 되기 까지의 배경와 왕이 되고 나서 나라를 빼앗기기 까지의 그의 삶 속을

자세히 들여다 본 '고종 44년의 비원'

 

개화와 전통 속에서 끊임없이 고민하고 개혁해 가려는 고종의 모습과

그 속에서 조선을 삼킬려는 계획을 하나씩 철저히 해나가는 일본의 모습을 보면서

책을 읽는 내내 안타까웠다.

 

조선 후기(철종이 승하한 뒤)의 역사와 강대국들의 싸움 속에서 혼란스러운 조선의 모습은

성난 파도에 휩쓸려 결국은 침몰하는 배를 연상케 했다.

 

흥선대원군이 물러난 뒤, 실질적으로 정치를 하게 된 고종의 끊임없는 개혁에 대한 노력의 내용과

명성왕후를 잃고 시를 쓰며 아내를 그리워하는 한 남자로서의 고종, 나라를 잃지 않기 위해

끝까지 노력하는 고종이 책에 그려져 있는데, 국사책에 짧게 다뤄진 그의 숨겨진 이야기를

새롭게 알게 되어 고종을 다시 보는 계기가 되었다.

 

명성왕후뿐만 아니라 고종도 결국은 일본에 의해 독살 당했음을 암시하는 이야기를 읽으며

시대가 변하고 세월이 흘러도 그 당시 일본이 했던 일들은 우리가 끝까지 기억하고

잊지말아야 할 안타까운 현실임을 생각해 본다.

 

고종에 대해 다시 바라 보게 된 '고종 44년의 비원'

일제강점기가 되기 전, 군주의 이야기였기에 책을 읽는 내내 마음이 아팠지만,

왕으로서 한 인간으로서 그를 다시 바라볼 수 있게 되어 다행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