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에 만약은 없다 - 명리학의 대가 방산선생의 촌철살인 운명해법
노상진 지음 / 쌤앤파커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운명을 논하는 사람들은 내 팔자에 무슨 행운이 들어있는지 알고 싶은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은 '운명에 만약은 없다' 라고

행운을 바라지 말라는 듯한 뉘앙스를 풍기는 제목이라 좀 이외다.

저자 방산 노상진 선생은 그옛날 유명한 부산 박도사님의수제자다.

삼성 이병청 포항제철 박태준 함조 정태수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박찬종 등

정재계 유명 인사들에게 비기를 전달한

제산 박제현 선생의

마지막 수제자라서 더욱 눈길을 끄는 책이다.

박제현 선생은 박정희대통령과 인연이 있다.

유신혁명을 할 때

박대통령이 사람을 보냈더니

한자로 유신 이라는 글자를 담뱃값에 써주었다고 한다.

그때 그 유 자가 죽음에 관련된 것이고 신 자는 귀신 신 자이니

유신 몇 년후 총탄에 돌아간 사실을 보면 그대로 적중한 것이다.

그일로 인해 대통령의 노여움을 샀고 남산에 끌려가서 3일동안 죽도록 맞았다고 한다.





아무리 운명이 정해져 있다 해도

사람들은 운명을 조금이나마 좋게 바꾸기 위해

이름을 바꾸기도 하고

성형해서 얼굴을 바꾸기도 하고

여러가지 변화를 주려고 한다.

그걸 바꿔서 좋은 일이 생긴 게 아니라

그걸 바꾸고 나서 좋은 운때가 와서 잘된 일이라고

이 책은 말한다.

좋은 운의 흐름일때 마침 변화를 주었으니

바꾼 결과로 좋아진 것이라 하는 것이다.

다만

성형은 기운을 돋우는 역할이다.

우울하거나 활력이 필요할 대 성형을 하는 것도 좋다.




명리학이나 사주를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나'를 알아가는 것이다.

나를 알면 불운은 피해갈 방도를 찾게 되고

나를 알면 지혜롭게 인생을 살 수 있다.

수용형인지 돌출형인지

저축형인지 소비형인가

이과형인가 문과형인가

일인자형인가 이인자형인가

직장형인가 창업형인가

나는 일머리인가 공부머리인가



사주에는 수화목금토의 5행이 있다.

이들이 만나면 상생이 되기도 하고 상극이 되기도 한다.

상극을 살펴보면

불은 금을 녹인다.

쇠는 나무를 자른다.

수는 화를 죽인다.

토는 수를 극한다.


상생은 이렇다.

목은 화를 살린다.

화는 토를 살린다.

흙은 금을 살린다.

금은 수를 살린다.

수는 목을 생한다.


운명의 하강 국면에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가장 강력한 것은 (노력)이다.

문제는 이렇게 노력하는 것도 타고 난다는 것이다.

그러면 운명이 정해져 있다면 우리는 왜 노력해야 할까요?

노력하지 않으면 운명의 상승 곡선이 올 때

받아먹을 열매가 없어져 버린다.

수확이 적어진다.


운명에 만약은 없다.

자신을 잘 안다는 것은

삶을 살아가는 데

무엇보다 든든한 백그라운드를 얻는 것과 마찬가지다.

운명이나 사주나 명리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자신을 알기 위해서다.

자신을 잘 알아서

어떻게 이 세상을 지혜롭게 잘 살 수 있나

공부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