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 힘들고 지칠 때 심리학을 권합니다
박경은 지음 / 메이트북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이 힘들고 지칠 때 심리학을 권합니다.  



마음이 매우 아프고 힘든 사람들에게 이 책을 바칩니다. 

두려워 말고 상처로부터 그냥 걸어나오십시오.

책 표지에 안내된 글이다. 


책의 뒷면에도 있다. 뒷면의 홍보글을 보자.

은밀하면서도 치명적인 

삶의 상처로부터 

이제 그만 자유로와지세요!

가장 쉬운 것은 

관계를 깨는 일이고 

가장 힘든 것은 자신을 깨는 일이다.  

다행히도 아픈 것이 모두 삶의 불행이 아닙니다. 

아프고 힘들어야 

삶의 중심인 자신을 보게 됩니다. 


지은이 박경은 님은 

가득이 심리상담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심리상담사이다. 

저서로는 <혼자  견디는 나를 위해>

<우리 아이 마음 설명서>

<나는 무엇 때문에 힘들어하는가> 가 있다. 


이 책은 관계와 나에 대한 상처와 아픔을  

심리학으로 감싸매어 보라는 권유이다.  


나는 누구인가?

내가 누구인지 모르는 채 

내가 어떻게 살아가는 지 

잘 보려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에게 이끌려 살아가면 

결국 나는 존재하지 않음이 된다.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 모른채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인정하려는 건 과욕이다.


이 책에는 사람들과 관계, 나와의 관계에 대해 

세세한 설명이 있어 

나를 생각하며 되돌아보며 깊이 있는 독서가 되었다.  


뜻깊은 귀절들은 줄을 긋고 여러 번 읽었다.  


인생에서 피하고 싶은 사람을 만나면

대부분 도망을 친다. 

그런데 피한다고 피해지는 게 아니로 놓았다고 놓아지는 게 아니다. 


(해결책)

 자신에게 더 확실하게 집중할 때 자연스럽게 피해지고 놓아진다. 

자기에게 쓰는 시간과 좋아하는 걸 실천하는 횟수가 많아져

자신에게 집중하는 것이다.



왜 나에게 냉정할 까? 


(해결책)

 왜 나에게 냉정할까? 

그의 개인적 상황이기도 하고 

관점이 다르기도 하고 

마음돌보기가 되지 않아서일 수도 있다.      


헤아리지 못한다는 것은 

각자가 자기돌보기로 바쁘다는 것이다. 

타인에게 인정받고픈 자기 욕망 속에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다른 이들에게 내 잘못이 아니라고 

여기 있는 나를 좀 봐 달라 해도 

아무 소용이 없다.


심리적으로 많이 아플 때는 

스스로 자기 부모가 되어 

자기를 처벌하지 않는 지 살펴 보아야 한다.  



 이기적인 사람을 만나면 



인간은 모두 이기적이다.

나의 이기성과 상대의 이기성을 모두 받아들여야 한다. 

우리 모두는 불완전한 존재이다.

상대를 이기적으로 본다는 건 나에게도 이기성이 있는 것이다 

그러니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자기 가치감을 높여 준다. 

자기 자신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심리적 우울감과 

공격적인 행동으로 나타난다.


아기 때 우연적 공격성을 보이다가도 어른이 되면 

달라진다. 이기적 태도는 공격성으로 발전하므로 

서로의 이기심을 인정하고 수용하면서 

배려해야하는 마음을 갖는 게 급선무다. 

배려와 수용은 먼저 익혀애 한다. 우선적으로

자신을 그 누구보다도 소중하게 대해 주어야 한다 




삶이 억울하다 느껴지는 때는?


(해결책)

어떤 이유로든 우울하고 불안 할 때

내 안에 있는 건강하고 행복한 나를 

도 있다는 걸 기억하자. 

 억울하다는 건 더 나은 

무엇을 얻지 못한 결핍감이다.

그 억울함을 나 스스로 자기 자신에게 인정해 주기로 하자.

다스하고 훌륭한 분이 옆에 있지 않으면 

스스로 그 억울함을 알아주자.   


사는 게 너무 힘들고 불행하다면 

(해결책)

사는 게 힘들고 불행할 때 

그걸 행복 쪽으로 전환하는 게

필요하다. 

오래 묵은 생각의 습관이다. 

너무 힘들다, 불행하다

힘들 수는 있지만 

그게 불행이라고 못박는 것은 내 생각이다. 

행복으로 가까이 다가가는 건 

한번에 되지는 않는다. 그러니 노력해야 한다.

자주 웃을 수 있도록 개그 프로도 보고 

좋아하는드라마도 보고 ,

경쾌한 음악을 듣고

노래를 부르는 것도 좋다.

좋은 글귀가 있는 책을 읽거나 

강의를 듣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어두운 생각에 휘둘릴 때는

(해결책)

우리가 균형잡힌 삶을 살지 않으면 매 순간 

생각 속에서 시달리게 된다. 

불안 두려운 생각, 공포심 악몽, 

감정의 치우침 생각의 치우침이 없어야 

악몽에서 벗어날 수 있다. 





자신을 괴롭히는 생각은 그만 두자. 

자신의 장점과

자신의 좋은 점을 기억하자. 

그리고 내가 도와 주었던 이들을 기억해 보자 

(비록 작은 것이라 해도) 


자기를 회복하는 과정은 좋은 경험 쌓기이다. 

자신이 어떤 특정 행위를 하거나  

결과물을 나타내지 않아도 

사랑받고 존중받기에 충분하다. 

어떤 경우에도 남이나 나를 비난하지 않도록 하자.


우리 안에는 다양한 자아가 있다. 


자신의 아픔을 상대가 겪고 있을 때 반응은 두 가지다.

안아주든가 책망을 한다.


우리는 자신의 사고와 행동과 정서를 바꿀 수 있다.

 늘 하던 행동과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생각하지

않으면 늘 하던 대로 그 패턴대로 살아간다. 

무의식적인 반복 패턴을 바꿀 수 있는 힘은 누구에게나 있다.

편안한 마음으로 살아가도록 연습할 수 있다.


편안한 마음을 지속하려면 

자기와 대화하고 

자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좋은 자기를 유지해야 한다.   


버림받을까 두려운 생각이 들면 

(해결책)

버림받을까 두려운 사람들은 

지나친 과잉친절과 배려를 한다.

인정 욕구가 강하고 

자기를 믿기 보다는

다른 이들의 평가를 바라고

쉽게 유혹당한다. 


어린 시절 충분한 안정감 속에서 자라나지 못하면 

양육자가 자주 바뀌거나 사라지거나 해서

불안한 정서가 몸에 배이면 

자신을 비하하거나 죄책감을 갖게 된다. 

때문에 남들에게는 친절하고 자기 자신에게는 가혹하게 대한다. 

이런 때는 잘못된 신념체계를 

다른 신념 생각 가치로  전환해야 한다.


자책과 죄책감은 나를 바꾸지 못한다. 

자책과 죄책감이 들 대는 왜 그랬는 지 동기를 살펴보아야 한다. 

다른 사람에게 맞추려는 거짓된 삶을 버리고 

애쓰는 삶을 놓아버리면 가뿐해진다.

천국과 지옥은 내가 만든다.

바로 지금 내가 하는 생각의 빛깔에 따라

 천국과 지옥이 나뉜다. 


 

실망하는 마음은 왜 생길까?

자기방식대로  상대방을 바라보기 때문이다. 

자기 방식이 잘못되었다는 걸 

알아차렸을 때

관계는 훨씬 더 성장하게 된다. 




마음에 병이 있는 사람은 

자신을 인정해 주는 사람이 필요하다.

마음도 육체도 아닌 사회적 질병(학연 지연 혈연)은

완전히 타파해야 한다.   

     

우리는 아프고 힘들 때 

겸손하게  자기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아프고 힘들 때 자기 자신을 

보살피게 되고 

새로운 버전의 인생을 만들고자 일어선다. 


그런 의미에서 코로나는

우리 사회를 치유하는 계기가 될 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