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깡이 (특별판) 특별한 서재 특별판 시리즈 3
한정기 지음 / 특별한서재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손에 들고 단숨에 끝까지 읽을 정도로 흡인력이 강했다. 소설이지만 저자의 어린 시절이 그대로 녹여져 있어서 깊은 공감을 이끌어내고 있다. 청소년 소설로 초등학고 때부터 동생을 업고 깡깡이 소리를 들으며 가난과 희생이 삶을 살아온 저자가 이 소설의 주인공이다.


깡깡이는 1970년대 부산 바닷가에서 배의 녹슨 부분을 긁어내는 일로 아이들을 먹여살렸던 고단한 어머니의 이야기이다. 그 배의 때 벗기는 소리가 "깡깡 깡깡!" 들렸기에 제목이 깡깡이다. 맏딸인 정은은 동생들을 업어 키우면서 힘들었던 어린시절과 이미 치매가 되어버린 엄마의 인생을 되돌아본다. 제대로 된 수입도 없이 밖으로만 돌던 아버지는 원양어선을 타고 폭풍우에 사라저 벼렸고 남겨진 가족들은 뭐라도 해야만 했다. 어머니가 작업 중 떨어져 다쳤을 때는 중학교도 못 간채 아이를 업다가 이제는 신문배달을 간다. 어쩌면 그 당시 우리네의 가난과 아픔을 보여주는 듯하여 가슴이 아프기도 했다.

지금은 잘 사는 나라가 되었지만 그래서 고생한 앞 세대를 꼰대라 하기도 하고 한물 간 늙은이들이 되거나 요양원에 드러누운 신세가 되었던 그 시대 억척스런 인생이 보여 눈물이 난다.

시원찮은 남편 대신 큰 아들을 의지하고 사랑했던 어머니는 그 귀한 아들이 결혼하자 마자 처갓댁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가버리는 아픔을 겪는다. 사랑하는 사람은 늘 자기 만족과 행복을 찾아 도망가버리는 시대를 어머니는 미치지 않고 어떻게 버텨셨을까? 아마도 치매가 걸리는 이유는 더이상은 자기의 현실을 받아들이기에 버거웠을 게 아닌가 생각해 본다. 어머니의 한스런 억센 인생을 들여다보면 눈물이 날 수밖에 없다. 배반하는 사랑과 늘 곁에 있지만 그저 당연한 듯한 큰 딸의 희생은 어머니의 눈에는 들어오지 않는 듯 하다. 큰 딸은 살림 밑천이여 그 말대로 살았던 맏딸 덕분에 동생들은 반듯하게 자라서 다들 한 가정을 이루고 행복하게 산다. 작가는 외로움의 끝자락을 붙잡고 오늘도 마음 속의 텅 빈 바닷가를 서성인다. 어린 날의 배경이 되어버린 소리와 함께. "깡깡깡깡 깡깡깡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