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차와 함께하는 명화 속 티타임 - 17세기부터 19세기 빅토리아 시대까지, 홍차 문화를 한눈에 보다!
Cha Tea 홍차 교실 지음, 박지영 옮김 / 북드림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7세기부터 19세기 빅토리아 시대까지,
홍차 문화를 한눈에 보다!!


한 때 홍차를 즐겨마셨다. 아마드, 웨지 우드, 포드넘 앤 메이슨, TWG… 커피보다는 뭔가 고오급스러운 느낌이고, 종류에 따라 다양한 맛이 입안으로 진격해들어오는 느낌도 좋았다. 살짝 달게 먹고 싶을 때 설탕을 첨가해서 먹으면 초심자도 쉽게 마실 수 있다. 무엇보다 홍차는 스콘이나 비스킷과! 살찌기 딱 좋은 조합이지 않을 수 없다.


어릴 때 만화 빨간 머리 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보면서 ‘저들은 왜 이리 차를 자주 많이 마시나?’ 하는 생각을 했었다. 아니, 밥을 먹어야지 차에 빵이나 쿠키를 잔뜩 먹는 그들이 당최 이해가 가지 않았던 것이다. 티타임이 그들의 문화였다는 것을 시간이 좀 지난 후에 알았고, 더 성인이 된 후에는 나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홍차 교실을 이끌어 온 지 20년이 되었다는 Cha Tea 홍차교실 대표 다치카와 미도리. 어떤 주제를 선택해서 강의를 하면 줄줄이 사탕으로 엮게 되는 소재들이 있기 마련이다. 홍차를 우리는 법을 시작으로 차 도구, 세계 홍차 문화, 홍차가 거쳐온 역사, 홍차와 관계 깊은 식품들까지 참으로 다양할 것이다.


이 책은 60점의 명화 속에 등장하는 차에 대한 이야기를 풀었다. 차 문화의 시작, 복식, 커피 하우스 등장, 동인도회사, 보스턴 차 사건까지 이야기는 끝을 모르고 진행된다. 홍차 하나 딱 당겼을 뿐인데 많은 이야기가 딸려 나온다. 매혹적일 수밖에 없다.
설명을 듣고 그림을 보니 그림이 완전히 다르게 보이는 건 당연하다. 일부러 탁자 위에 놓인 티 세트를 찾아보기에 이른다.


실내에서 왜 모자를 쓰고 장갑을 끼고 차를 마셨을까?
차는 원래 찻잔 받침에 따라 마셨다고?
애프터눈 티와 찻잎 점의 역사는?
르누아르가 찻잔에 그림을 그리는 채색사였다고?


명화 속 티타임으로 펼쳐지는 이야기의 향연 속으로 들어가보는 건 어떨까? 다기에서 에티켓까지 차 문화의 모든 것! 반드시 차와 디저트를 준비하고 읽으시길. 눈은 즐거우나 입이 굉장히 괴로워지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