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버 - 어느 평범한 학생의 기막힌 이야기
프리드리히 토어베르크 지음, 한미희 옮김 / 문예출판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은 세 가지 것에 근거한다.
바로 진리와 정의, 사랑이 그것이다.”
작가 프리드리히 토어베르크는 고대 이스라엘 랍비 시몬 벤 감리엘의 격언으로 화두를 던진다.
학교와 실제 인생은 아무 관계가 없다고 주장하는 주인공 게르버, 하지만 그의 아버지는 아들의 주장이 틀렸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학교는 과연 진리, 정의, 사랑이 있는 곳인가? 그것을 배우고 가르치는 곳인가? 이 소설은 처음부터 끝까지 이것을 우리에게 묻고 있다.


학교마다 #미친개 는 꼭 존재했었다. 술이 덜 깬 모습으로 교단에 서고 기분에 따라 아이들을 쥐어패고, 심지어 심한 성희롱, 성추행, 인격모독까지 했던!!
하지만 그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없었다. 왜였을까? ㅠㅠ 학생들은 눈치보며 한 대라도 덜 맞기 위해 애썼던 시절이 있었다. 이 책은 그 미친개인, 수학교수 #쿠퍼신 과 똑똑하지만 반항기 가득한 #게르버 와의 대결구도를 중심으로 놓고 이야기를 펼쳐간다.


학교에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는 게르버의 담임이자 수학, 화법기하학 교수 쿠퍼. (그의 별명이 쿠퍼 신이다) 학교는 그의 제국이며, 학생은 자신의 권력을 확인시켜주는 도구일 뿐이다. 사회에서는 자신을 권위자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학교에서만큼은 독하게 권력을 휘두르고 확인받기 위해 애쓴다. #못난눔 자신의 권력에 반기를 드는 학생이 있다면 어떻게 해서든 무릎을 꿇게 만든다. 그런 그의 눈에 게르버는 눈엣가시! 게르버를 망가뜨리기 위한 목적으로 담임을 맡기까지 한다 #상또라이


한국으로 치면 고3인 8학년 아이들은 졸업시험을 통과해야한다. 교수가 미흡을 준다면 졸업은 계속 늦춰진다. 대학이나 안정적인 직장에 들어가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 졸업시험 합격증이다. 그것을 위해 엄청난 학업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막강한 권력을 가진 교수에게 순종할 수밖에 없다. 게르버는 묻는다.
“너는 미흡해!”, “당신은 자격이 없어요!”라고 한 사람의 존재를 규정할 권리를 누가 보장해주었느냐고!!


자신이 글을 쓰기 시작한 1929년 겨울에 학업 스트레스로 단 일주일 동안 무려 열 건의 학생의 자살 소식을 신문을 통해 접했다는 작가. 이 책은 작가 자신이 프라하의 권위주의적인 학교에서 겪었던 부정적인 경험을 그리고 있다. 그런데 그로부터 90년이 넘었음에도 낯설지 않은 이 이야기, 그래서 더 슬프고 아프다. 수능이 끝나면 들려오는 자살 소식도 학업 스트레스로 힘들어하는 아이들도 여전히 존재하는 세상.


무엇을 위해 아이들은 그런 시간을 견뎌야 하는지,
그리고 어른들은 무엇을 위해 그런 시스템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지 우리는 물어봐야 한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고 하는 말이 무색할정도로 제도는 계속 바뀌고 있다.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선생님들조차 다 알지 못하는 입시전형들. 하고 싶은 말은 많은데 말이 되어 나오지 않는다. 마지막 장을 덮는 마음이 너무도 무겁고 아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