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애거서 크리스티 읽기 - 역사가가 찾은 16가지 단서
설혜심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8월
평점 :
청소년시절 추리소설을 찾아서 읽은적이 있다 셜록홈즈, 뤼팽시리즈로 시작했다가 애거서 크리스티 작품까지 알게 된다.
저자의 경우 어른이 되어 추리소설을 다시 읽었을 때 새롭게 보이는 것들 애거서 크리스티 전집과 자서전을 같이 읽었을 때 비로소 알게 된 것들을 16개의 주제로 담아 정리한 책이다.
애거서의 소설은 대중들에게 사랑을 받아왔지만 학계는 애거서 작품에 대해 냉담했다.이런 비판의 핵심은 애거서 크리스티 소설에는 현실성이 없다는 것인데 내가 생각했을때는 여성이 쓴 소설이라 그런 비판이 나오지 않았나 조심스레 생각해본다. 애거서가 창조한 캐릭터들이야 말로 평범한 일상에서 만날 법한 사람들이기에 훨씬 더 현실적이여서 사람들이 찾게 된것인데 말이다.
애거서는 작품을 통해서 '악의 평범성'을 꿰뚫고 있으면서 실제로 그것이 얼마나 무서운지를 보여주었다.
덧붙여 애거서가 작품 전반에 그려낸 배경 및 세부묘사, 가치관, 물질 문화등은 당시의 사회상을 아주 생생하고도 적확하게 보여준다.
애거서는 현실성이라는 요소를 중시했다. 작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어디서 얻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녀는 등장인물은 가상의 인물이지만 필수적인 요소의 배경은 '이미 현존하는 것으로, 반드시 실재하는 대상이어야 한다'고 밝힌 적 있다고한다.
이 책에서 16개 키워드로 애거서 크리스티 소설과 애거서를 분석한다.
탐정, 집, 독약, 병역 면제, 섹슈얼리티, 호텔, 교육, 신분도용, 배급제, 탈 것, 영국성, 돈, 계급, 미신, 미시사, 제국
이렇게 16개 키워드를 가지고 애거서 크리스티 소설에 나오는 주인공과 애거서를 분석하고 있는데 왜 주인공인 포와르가 영국인이 아닌지 영국인의 집에대한 집착 애거서 크리스티가 전쟁중에 간호사와 조제사를 경험했기에 독에대해서 잘 알고잇고 그걸 소설 속에 담아낸 수 있었다는 점이나 영국성 같은 부분은 저자가 영국학에 다해서 전공을 한 교수님이셔서 더 세세하게 알 수 있었던 것 같다. 애거서 크리스티 작품중 기억에 남거나 감명 깊게 읽은 부분이 있다면 책에서 나온 부분을 떠올리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더라도 애거서 크리스티가 작품활동을 하는 당시 시대상을 알 수 있는 재미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