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부엌에서 과학의 모든 것을 배웠다 - 화학부터 물리학·생리학·효소발효학까지 요리하는 과학자 이강민의 맛있는 과학수업
이강민 지음 / 더숲 / 2017년 3월
평점 :
사람은 먹어야 살 수 있다. 우리는 음식을 음식으로만 생각했지만 많은 과학적 원리들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서 먹지는 않는다.
저자는'나는 부엌에서 과학의 모든 것을 배웠다'를 통해서 각장을 걸쳐서 물리학 화학 생리학 생체분자 발효 그리고 문화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다. 목차만 보자면 굉장히 이론적이고 어렵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수도 있지만 막상 책을 읽다보면 짧막짧막한 이야기들이 짧게는 한페이지에서 길어도 3장을 넘어가지 않는 음식과 과학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우리나라의 김치를 만들떄 배추를 소금의 절이는 과정 이것은 예로부터 전해온거야라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물리학적으로 봤을때 삼투현상이다. 이는 중고등학교때부터 학생들에게 물리를 가르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이 책은 음식과 과학에 대해서 나오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어려서부터 과학에 흥미를 느끼게 하려면 요리를 하면서 이 책에서 나오는 작용들만 얘기해주어도 큰 효과를 볼 수 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 장에서는 문화에 대한 얘기가 나오는데, 아는 것이 힘이고 아는 만큼 보인다고 프랑스의 경우에는 어려서부터 와인의 맛과 향을 알게해서 와인에 대한 향과 맛을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게 한다고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남자는 부엌에 들어가며 안된다는 전통적인 사고 방식을 주장하는 사람이 아직도 있지만 프랑스에서는 자연스럽게 요리도 가르쳐서 아는만큼 맛있는 음식을 즐길 수 있게 한다. 이 책을 보면서 이제까지는 살아가기 위해 음식을 먹었다면 앞으로는 음식을 종합예술로 생각하면서 재료의 맛을 더 느낄 수 있는 음식 만들고, 찾아서 먹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