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마리 여기 있다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변화를 좋아하지 않더라도 사람에게는 언제나 전환점의 기회가 오고는 한다. 브릿마리는 남편 켄트가 이미 오래전부터 젊은 여자와 바람을 피웠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자신의 현 상태에 만족하기에 모든것을 무시하고 살았다. 하지만 결국 남편이 다쳐 병원에 입원 했고 내연녀의 전화를 받았을떄 그녀는 그녀의 하얀 차를 타고 세상으로 향해 움직인다. 사실 브릿마리는 베트만의 전작 '우리할머니가 미안하다고 전해 달랬어요'의 빌라에 살고 있는 왠지 까칠한 부부로 나온 인물로 원리 원칙에 따라서 행동하려고 하지만 한편으로는 외로워 보이는 분이였는데 실제로 그녀의 주인공인 소설을 접하자, 주인공이 왜 이럴까에서 그녀를 점차 이해하게 되고 그녀를 응원하게 된다.

 그녀는 일자리를 얻으러 고용노동센터로 가고 몇십년동안 가사만 했던 그녀에게 일자리는 쉽게 얻을 수 없다. 책의 시대상으로도 경제위기라고 나와 있고 그녀가 결국 취업하게 되는 레크레이션 센터가 있는 보르고라는 마을에서는 집집마다 '판매'표시가 되어 있고 많은 사람들은 일자리를 잃고, 우체국이 피자가게가 되고 피자가게가 수리점이 되고 마트가 되는 이상한 가게는 하나 있을 뿐이다. 하지만 그곳에도 희망은 있다. 그건 바로 아이들과 축구. 처음에 그녀는 축구에 대해 부정적이기만 했다. 남편 켄트는 축구경기하는 날이면 집안을 어질러 놓았고, 그녀가 좋아하는 십자말풀이도 축구경기가 하는 날이면 온통 축구 기사로 신문이 도배가 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그런 그녀가 아이들의 축구코치가 되어 아이들을 하나 둘 알아가게 되고 다시금 심장이 두근거리는 사람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사실에, 굳이 이기지 않아도 행복한 그리고 구단과 그 팬들에 대한 이야기가 그녀를 달라지게 한다. 그리고 그녀는 결국에는 어떤 것도 선택하지 않고 아니 어쩌면 그녀가 소망했던 것을 찾아 떠나는 모습이 마지막으로 나오는데 나이가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닌 자신의 마음가짐의 문제라는 것을 다시금 꺠닫게 해주는 그녀의이름은 '브릿 마리' 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