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의 삶, 풍속화로 만나다 아름답다! 우리 옛 그림 4
윤진영 지음 / 다섯수레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우리는 서양의 미술에 대한 해석은 들으면서 한국의 미술의 해석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을까? 적다기 보다는 시험에 나오는 작품만 몇 점 알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 같다. 이 책은 조선시대의 특히, 우리가 잘 접하기 쉽지않은 관인과, 사인 및 그나마 우리에게 잘 알려진 풍속화를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나는 그 중 관인이 그려져 있는 그림이 재미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는 그 당시의 상황을 그린 그림을 여러 사람이 나누어 가진 그림으로 위에는 제목과 그림이 있고 아래에는 어떤 인물의 참석에 관계없이 해당 그림에 관련된 인물의 이름과 이 장소, 어떠한 연유로 그리게 되었는지 나오는 글이 적혀져 있다. 그리고 정직한 모습만히 아닌 술자리에서 취한모습이라던지, 그래서 실려가는 모습이라던지 약간은 재미있다는 느낌 또한 있었다.

그리고 사인이라는 뜻이 벼슬을 하지 않은 선비를 부르는 말인 줄 처음 알았다.  위는 신윤복의 <쌍검대무>에 대해 소개하는 페이지로 위에처럼 크게 그림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이고, 옆에 설명을 적어 놓는다. 또한 오른쪽처럼 작게 그림의 부분 부분을 소개를 해주면서 그림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질 수 있도록 해주었다. 또한 뒤에는 한 작품과 비슷하거나, 똑같은 소재 또는 그 작품의 모작또한 소개해주고 있어서 이러한 소재로 그림을 많이 그려구나라는 생각도 가지게 되었다. 또한 모작을 그리더라도 그 시대에 유행하는 화풍을 사용했다는 것이 화공으로서의 자기소신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은 서민의 모습을 다루고 있다. 그들의 일하는 모습,빨래터, 씨름, 서당등의 김홍도의 그림을 많이 다루었다. 많이 지나가면서 봤던 그림이더라도 그림을 세세하게 설명해 주어 서양화뿐만 아니라 한국미술사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 않을까라는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