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편집자처럼 책을 보고 책을 쓰다 - 차별화된 기획을 위한 편집자들의 책 관찰법
박보영.김효선 지음 / 예미 / 2020년 3월
평점 :
영화 정직한 후보에서 보면 주상숙(라미란배우) 서점에서 선거운동 및 자신의 홍보 수단으로 자신이 직접 책을 쓰지않고 대필자가 책을 썼다고 이야기를 한다. 여기서의 책은 저자에게 홍보의 수단이다. 어떤 책은 자신의 전문 지식을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고자 한다. 이처럼 책이란 작가 각자의 다른 의미가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이름을 내건 책을 쓰고 싶어 한다.
편집자처럼 책을 보고 책을 쓴다는 현직 출판편집자인 저분들이 쓴 책이다. 위의 사례들처럼 우리나라의 독서량은 적은데 누구나 자신의 이름을 걸고 책을 쓰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왜 자신의 기고한 글이 왜 출판까지 이어지지 않는지를 알려주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는 3가지이다. 이 책의 제목에서 처엄 1.책을 보다 2,책을 쓰다 3.알아두면 유용한 책읽기 기술 이것이다.
첫번째의 이야기처럼 책을 잘 쓰기 위해서는 책을 잘 보는 방법이 중요하다. 이는 편집자들의 실제 경험에서 나오는 것들인데 표지글, 제목에서부터 작가 자신을 소개하는 방법 2가지, 그리고 목차와 독자들에게 '매력적이고 참신하다'란 말의 의미까지 책을 정말 전반적으로 관찰하는 과정이다. 김겨울 작가님의 '독서의 기쁨'에서도 이 이야기가 나오는데 책의 표지 질감 부터 글자체 등의 모든것을 일단 관찰하는 챕터이다. 이 챕터를 읽다보니 '책을 읽고 책을 쓰다'의 세밀함이 조금은 다르다는 생각을 하였다. 책 표지 책을 의미하는 그림 및 글자들이 양각으로 되어있어저서, 책을 읽을때 이 표지의 느껴지는 재미있는 촉감이 좋았다.
두번째는 책은 안팔리지만 왜 책을 써야 하는지, 그리고 어떠한 글을 써야 하는지가 나온다.
하상욱 작가는 온라인에 올린 시들을 역어서 '서울시'가 탄생하였고 '결벽증 며느리'의 경우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서 그것이 인기를 얻어서 자신이 경험한 이야기 및 각색을 통해서 책을 출판 하였다. 이처럼 참신하고 차별화된 콘셉트를 찾는 것의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독자의 선정과 원고를 잘 쓰기위해서 알아야 할 것들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 그리고 중요한 '표절'과 '참고' 책이라는 것은 전문적인 지식을 주기도 하지만 비슷한 분야의 책도 나올 수는 있다. 예를 들면 부동산 입지라던지 자기개발서에도 말이다. 그래서 약간의 식상하고 비슷하게는 나올 수 있지만 그것을 참고 하는 것과 표절하는 것은 다르다.
본문에서 p.169에서 p170에 걸쳐서 "내일 지구가 망해도 한 그루 포도나무를 심겠다." 이것을 자신만의 창조한 글이라고 할 수는 없다고 단호하게 이야기 한다. 이건 표절이아니라고 말 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이처럼 다양한 예시들을 가지고 책을 쓰는 방법을 이야기 해주신다.
그리고 마지막은 유용한 책 읽기의 기술인데 처음이 정독, 속동,다독,통독의 장단점을 이야기 해주시고, 함께 읽거나 책을 읽을때 사용하면 좋은 도구(밑줄 치기, 플래그잇)에 대해서 그리고 필사의 좋은 점도 이야기 해주신다. 필사는 그 책을 천천히 읽으면서 그 책의 띄어쓰기등의 디테일 함을 볼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서평을 쓰는것도 좋은 책 읽기의 방법이라고 나온다. 그리고 좋은 서평을 읽으면 그 책에 대한 에세이 한편을 읽는 듯 하다고도 이야기를 해 주신다.
이 책은 평소에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책이 세심한 과정 속에서 만들어 지는 가를 알 수 있고, 자신의 이름을 건 책을 출판하고 싶어하는 독자라면 이 책의 출판 편집자의 입장에서 책을 만드는 과정들을 꼼꼼하게 볼 수밖에는 없는것 같아서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