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은 왕홍으로 통한다 - 14억 중국시장의 크리에이터, 2020년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
임예성.이혜진 지음 / 북스타(Bookstar) / 2019년 8월
평점 :
중국은 우리가 잘 아는 공산주의 국가이다. 그러다 보니 중국에서는 안되는게 참 많이 있다.
그것이 바로 유튜브이고 또 다른 안되는것들이 많다 그래서 중국에서의 많은 인구들은 대부분 중국의 제품을 소비할 수 밖에는 없고, 14억이 넘는 중국 인구 덕분에 내수시장은 점점 커지게 된다. 그중 유튜브도 중국에서는 금지이기 때문에 여러 플랫폼들이 생겼는데 짧은 비디오 플랫폼중 대표적인 3가지는 콰이쇼우 도우인 훠샨샤오비디오 라고 할 수 있다.
그중 도우인의 경우 우리 나라에서도 틱톡이라고 잘 알려진 어플 플랫폼이다. 숏 비디오를 올리고 그 조회수 및 광고로 수입을 얻는데 처음에 왕홍들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예쁜 외모를 통해서 사람들을 끌어 모았다면 이제는 너무 커져버린 왕홍의 시장과 사람의 피부톤까지 변경할 수 있는 뾰샤시한 어플을 통해서 누구나 미남 미녀가 될 수 있어서 지금은 외적인 것보다는 내용을 중요시 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왕홍들의 가장 큰 장점은 수입 구조이다. 유튜브에서는 아직 못 보았지만 왕홍들이 주로 활동하는 플랫폼에서는 라이브를 하면서 제품을 홍보하는 일반적인 것도 있지만 그 제품을 바로 판매와 연결하는 플랫폼이 마련되어 있어, 그것들이 많이 팔릴 수록 하루에 몇억도 쉽게 벌 수 있다고 한다. 왠만한 연예인들 출연료보다 높은 것이다.
이것에 도전?한 저자인 이혜진 님은 중국에서 석사를 공부하고 있는 분으로 중국의 문화를 좋아하고, 자신이 한국인이고 중국의 유명한 대학을 다닌다는 점을 캐치하여서 왕홍이 되기위한 시도를 하고, 하나하나 다양한 시도를 하면서 어떤 동영상에 중국인들이 선호하고, 하는지를 알려준다. 책을 쓸 당시에는 50만의 중국 팔로우를 가지고 있었고 그러는 과정에서의 다양한 경험들도 이 책에는 써있다. 그리고 지금 중국 시장은 왕홍을 통해서 많은 해외 브랜드들도( 벤트, BMW,삼성, 다이슨, 맥도날드, 코카콜라 등등) 홍보를 하고 있다고 한다. 그만큼 중국의 많은 인구는 왕홍들이 좌지우지하고 있다. 만약에 중국에 진출 하려는 브랜드는 왕홍을 통해서 홍보하는 것도 아주 큰 장점이 될수밖에는 없다.
중국에 대해서 우리는 아주 가까이에 있지만 우리는 중국을 잘 모른다. 사실 처음 왕홍이라는 단어를 보았을때 이건 또 뭐지? 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 같다. 하지만 왕홍에 대해서 알고 난 뒤에는 정말 그 파급력이 엄청 나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왕홍을 모르는 사람들에게 왕홍을 설명하자면 바로 유튜버를 말할 수 있겠다. 유투버도 광고로 인해서 수입을 벌고 그것으로 생계를 이어 나간다. 트위치? 라는 것도 이것과 비슷한 플랫폼이다. 너도 나도 유튜버에 도전하듯이 많은 사람들도 왕홍에 도전한다고 한다. 아직은 외국인이 아주 희소성이 있다고 한다. 유튜버보다는 중국어를 할 수 있다면 왕홍을 도전해 보는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