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모두는 정신병자다 - 정신질환을 극복하는 칼 융의 힐링 마인드 스토리
최금락 지음, 정재훈.이시혁 그림, 유광남 기획 / 스타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모두는 정신병자다' 제목부터가 참 강렬하다, 거기에다가 만화책이라니!


전체적인 내용은 정신질환을 분석한 융 프로젝트를 만화책으로 만들어서, 조금 더 친숙하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 놓은 책이다.

아무래도 내용면에 있어서 정신질환에 관한 이야기들이 나오니 우울하기 짝이 없지만 현재 치료를 받고 있거나 이러한 증상을 보이고 있는 다른 사람의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가져 볼 수 있는 책이다.


내용은 최근이나 과거에 들어 봤을법한 내용을 다룬다. 피해망상, 공황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헤리성 장애, 우줄증 등 말이다.

만화책에서 나온 편중에 공황 장애의 경우 연예인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많이 걸리는데, 왜 이런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그리고 어떻게 치료 할 수 있는지의 방법들이 나오고 있다. 나의 경우 예전에 한번 순간적으로 심하지는 않지만 넓은 장소에서 숨이막히고 먹먹한 경험을 한적이 있다. 심리적인 것도 있겠지만 이 만화의 에피소드를 보면서 그때의 생각이 났었던것 같다.


 신체변형 장애 편에서는 병원에서는 아주 균형적이고 예쁘게 생겼는데 안면이 비대칭적이고, 자신의 턱이 너무 튀어나왔다면서 수술을 해야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보기엔 지극히 정상이고, 사람마다 약간식의 비대칭은 가지고 있는 데 스스로가 그렇게 느껴지는 것이다. 원인은 여러가지 있지만 어린시절의 기억때문에 그런 것으로 나중에 다른 소녀를 만나고, 그 소녀는 자신이 보기에는 정상인데, 다리의 길이가 다르다고 다리를 아예 절단하려고 한다. 그 소년를 보고, 의사와 상담을 받으면서 치유가 된다.

나는 이걸 보면서 성형을 계속하는 사람들은 이런 신체변형 장애의 심리적인 병을 가지게 되어서 그런게 아닐까 싶기도 했다.


사람은 누구나 아플 수 있다. 그게 겉으로 보이는 감기나 타박상 일 수도 있지만 심리적으로 아플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제는 병원에가서 상담을 받고 하는 사람들이 많아 졌다고 한다. 병을 숨기거나 나아지겠지 하는 것보다는 한번쯤은 병원에 가기를 바란다. 다른 사람이 아닌 날 위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