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시 30분 1면이 바뀐다 - 조선일보 편집자의 현장 기록
주영훈 지음 / 가디언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전 직장이 신문사와 일주일에 한번씩 지면 한면을 맞아서 회사 간접 홍보도 하고, 신문사에서 원하는 칼럼을 연재하기도 해서 그 원고를 넘기는 일을 맡았었다. 오후 3시까지 원본파일을 보내고 나면 신문사에서 지면 구성한걸 보내주고 다시 그걸 대표님께 컨펌받고 그럼 신문사에서 수정 후 다시 컨펌받고 했던 기억이 난다. 그 마감 시간이 오후 3시반쯤 되어야 했고 늦어질때는 4시정도까지는 서로가 조율을 마쳐야 했다. 신문의 한면을 구성하는데도 이렇게 여러번의 과정이 거쳐지는구나 생각했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니 뭔가 새롭게 느껴졌다.

 23시 30분 1면이 바뀐다라는 책 제목은 잘 뽑은거 같다. 기대가 없이 봐서 그런지 아니면 신문사에 다니는 저자가 글을써서 그런지 책을 읽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현장감이 느껴지고 글속에서 순간순간의 속도감과 긴장감이 보이는 듯 했다. 내가 아주 조금은 알고 있는 분야가 아닐까 했는데 현실은 조금더 급박하게 흘러갔다. 저자는 조선일보에서 오랜기간동안 1면의 편집일을 하였다. 나는 단순 구성만 한다고 생각햇는데 역시 그건 생각일 뿐이고 실무자의 입장에서는 오자는 기본이고 실시간으로 들어오는 이슈에 사진에 소식에 모든것에 귀를 귀울여야 한다. 기억에 남는 부분은 다른 외신들의 신문이나 인터넷 뉴스에도 귀기울여서 듣고 첫판 이후에도 상황에 마쳐서 1면의 구성을 바꾼다는 점이 신기했다. 재미있는 부분은 그런 이슈가 우리나라는 분단국가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북한과 관련된 뉴스가 바뀌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신문에 원래는 미세먼지에 대해서 1면에 크게 다루었고 1쇄는 그렇게 가다가 끊고 판을 다시짜서 또다른 제목 또다른 구성으로 2쇄를 찍으면서 뭔가 바뀌면 3쇄 마지막으로 수정할 내용이 있으면 4쇄까지 간다고 한다. 그 과정이 정말 단호하고 빠르게 진행이 되면서 같은 날짜의 신문인데도 어떤 신문을 받느냐에 따라서 1면이 다 다를 수 있다는데 새로운 정보를 알게되어 재미를 느꼈다.  이 책을 읽음으로서 작지만 편집자의 고뇌를 알게되었고 신문에 대해서 새롭게 보이는 기회가 되었다. 아무리 인터넷 신문과 ai가 기사를 수백 수천개를 내더라도 종이 신문만의 매력은 계속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