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서로 완성하는 학생부 - 상위권 대학으로 가는 지름길 ㅣ 독서로 완성하는 학생부
서현경.엄신조 지음 / 한국경제신문i / 201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학창시절에는 학기 초에 청소년 권장도서를 나누어 주었지만 그 책들을 다 읽지는 않았다. 책을 일거라도 당시 유행하는 무협소설인 묵향 비례도나 판타지 소설을 주로 읽었던 것 같다. 그렇게 학창 시절을 재미 위주의 독서활동을 하였는데 이제는 취미로의 독서가 아닌 학생부를 채울 수 있는 독서의 전략법이 나오다니 신기할 따름이다.
책은 총 4장에 부록을는 독서목록을 설계할 수 있는표가 직접적으로 있다. 읽으면서 가장 먼저 생각난 것은 나의 입시 할때와 현대 대학에 다니는 친척동생과 아직 중,고등학교에 다니는 친척동생들로 갈수록 이제는 논리적인 사고가 중요해 졌다는 점이다. 우리 시대에는 서술형보다는 4지선다의 객관식 문항이 많았는데 지금은 학교 시험에서조차 서술하는 문제가 생기고 대학 입시에는 논술을 요하는 시험들이 많이 출제 되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전공에 대한 관심을 책을 통해서 직간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게 독서의 가장 큰 장점인것 같다. 단순하게 방송관련학과에 가고 싶으면 독서기록에 관련 도서들을 읽고 독서 기록표를 제출하면 된다. 또한 자기소개서에서도 '미디어 공공성'이라는 책을 읽었는데 이것을 읽으면서 어떠한 점을 느꼈고 그래서 어떻게 행동하고 있으며 어떻게 할것이다는 자연스럽게 책을 통해서 관련 분야의 관심도 나타 낼 수 있고, 그것이 다른 친구들과의 차별화된 강점이 될수 있을 것 같다.
알고 있지만 그것을 표현하는데 부족한 점이 있을테는 예문을 보면서 쓰는 연습을 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현재 고등학교 2학년인 친척동생이 있는데 그 친척동생에게 적극 추천해 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