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학자라고 새를 다 좋아하는 건 아닙니다만
가와카미 가즈토 지음, 김해용 옮김 / 박하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류학자 가와카미 가즈토씨는 조류학다에 대해 도입부에 이렇게 말한다. 거의 없다고 또한 직업적 조류학자도 많지 않다고 말이다. 그것도 그럴것이 조류학자는 무엇을 생산해 내거나 하는것이 아닌 새들의 분포도를 살피고 새의 종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살피고 계신다. 그의 업무에 대해서 및 자신의 겪은 일에 대해서 얘기하는데 기억에 남는 것들이 몇가지가 있다. 처음에는 재미있는 책이라고는 하지만 평소에 새에대해서 관심이 없던 나에게 어떻게 다가올 까 싶었는데 일본인 답게 뭔가 소소함의 재미를 주는 책인것 같다.


 그의 연구에 있어서 답사를 가게 되는데 그곳은 섬으로 외부환경에 최대한 노출이 되지 않도록 씨앗이 있는 음식이나 그런 것들이 철저하게 통제된다고 한다. 혹시 본인 떄문에 외래종이 이곳에 자리잡지 못하도록 말이다. 그리고 조류학자라고 해서 당연히 우아하게 새들이 날라오고 하는것이 아닌 귀를 종긋 세우고 어디에 서식하는지 혹 그 증거들을 찾기위해 또 표본을 수집하기위해 그물을 치고 숲을 돌아다니게 된는데 그야말로 고생했다고 느껴지는 대목들이 구구절절이 쓰여져 있다. 그렇게 고생하고 다시는 안가고 싶은 섬이였는데 나중에 그 섬을 영상으로 찾아보니 그렇게 아름다울수가 없었다는 것이다. 자신은 그냥 모기에 물리고 강제 태닝도 당하고 했는데 말이다. 


 그리고 고유종의 이름을 붙이는 부분에서의 에피소드도 있다. 당시 일본의 종에 대해서 다양한 곳에서 표본 조사가 이루어 졌고 휘파람새그중 여러마리 새로운 종을 찾아 학회에 이름을 붙이었는데 그게 그렇게 머리가 아플 수가 없다. 그 이유는 긴부리 휘파람새(A종)와 휘파람새(B종) 때문인데 원래되로라면 휘파람새와 짧은 부리 휘파람새가 되어야 맞는 다고 한다. 원래 A종이 먼져 발견되어서 공식적으로 이름을 붙이고 그와 비슷하지만 다른 종들의 이름이 차례로 명명 해야하는데 조류학회 잘못된 승인때문에 B종이 먼져 등록 그 새가 휘파람새가 되고 원래 먼져 발견한 A종이 긴부리 휘파람새가 되었다는 이야기 이다. 그런데 중요한것 중 하나. 본인도 그것을 승인한 사람중 한사람이란 거다. 이밖에도 작음 웃음과 모순을 주는 소소한 에피소드들이 많이 있다.  사실 이 책을 읽는다고 해서 내가 조류박사가 될것도 아니지만 내가 살아가고 있는 주변에 대해서 특히 새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