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7년 동안 영어 공부에 실패했던 39세 김과장은 어떻게 3개월 만에 영어 천재가 됐을까 - 90일의 독한 훈련이 만드는 기적 같은 변화
김영익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18년 5월
평점 :
절판
영어,,,우리나라는 영어를 사용하는 영어권 국가는 아닌데, 엄청 영어를 중시하는 나라이다. 그래서 인지 수능에서도 영어, 공공기관 지원자격에서도 영어, 각종 회사에 입사할때에도 공인 영어 성적을 제출하라는 곳이 많이 있다. 물론 스킬?을 통해서 영어성적을 제출할 수는 있으나 외국인 앞에가면 어버버한 사람들,,초등학교 시절부터 영어 학원에 다녔지만 영어시험이 제일 싫었고, 지금 회사에서 외국인 바이어들에게 전화가 오면 해외사업부로 전화를 돌리기에 바쁘다,,,,초등학교때부터치면 20년게 공부해왔는데 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영어 잘하는 사람이 쎄고 쎘다지만 주변 친구들 중에는 원어민 앞에서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얘기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러다보니 또 집어든 책이 '27년 동안 영어 공부에 실패했던 39세 김과장은 어떻게 3개월 만에 영어 천재가 됐을까'이다.
'27년 동안 영어 공부에 실패했던 39세 김과장은 어떻게 3개월 만에 영어 천재가 됐을까'는 호주 농장에서 워킹 홀리데이 비자를 통해 딸기 농장에서 부당한 노동력 착취를 통해 영어를 배워야 겠다고 생각한 김영익씨가 자신의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서 영어를 향상시키는 방법 을 알아내고 실제로 강의및 교육을 통해서 검증된 영어로 말 잘 해보자는 프로젝트의 책이다. 토익책이나 영어 단어책을 위주로 공부했고 각종 미디어를 통해서 영어공부하는 법에 대해서 봤지만 이책은 전체적으로 읽기도 좋고 자신의 이야기를 써놓은 것이다보니 공감도 많이 갔다. 사실 영어책 한권 씹어먹기, 미드나 영드보면서 영어에 친숙해지기 영화를 여러번 보기 말이 쉽지 혼자서 하다보면 쉽지 않아서 학원에 다니게 되는 것같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영어를 늘상 사용하지 않은 나라 답게, 목표의식을 가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아웃풋을 해주지 않으면 알고있던 문장도 잊어버리게 되고, 어버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걸 알려주신다. 완벽한 영어는 없고 우리는 원어민처럼 말할수 없다는 사실이다. 사실 우리가 영어를 잘하는 기준은 cnn을 듣고 토론을 할수 있는 정도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의사소통만 원할하게 하면되지 원어민 발음을 할 필요는 없다. 상대적으로 한국에 오래살고 있는 외국인들을 봐도 그들도 오랫동안 살았지만 완벽한 한국어 발음도 아니지만 의사소통만 할수 있어도 괜찮다고 한다. 우리도 딱 영어를 그수준으로 만들 수 있으면 되는 것이다. 약간의 책에서의 전반적인 분이기가 이렇고 어떻게하면 수월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있는지 500개의 간단한 문장을 알려준다. 나의 경우에는 곧 혼자서 영어권으로 여행을 간다는 목표의식이 있고 그때문에 이 책을 읽게 되었는데, 이제는 이 책을 동기 삼아서 지속적으로 아웃풋을해서 즐거운 여행을 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