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SF소설을 몇 권 읽었더니 미래의 어떤 날 인간이 거의 멸종된 지구나 낯선 행성 어디에서 그 여러 책들의 캐릭터들이 오며가며 마주칠 것 같은 기분이 든다. 과학기술 발전에 뒤따르는 부작용으로 피해를 입고 인간과 유사한 여러 개체가 등장해 정체성이 불분명해가는 존재들은 고민하는 음울한 정서도 유사해 그들을 한데 모아놓아도 어색함이 없어보인다. 김영하 작가의 <작별인사>의 캐릭터들도 그들과 함께였다.


출판계의 트렌드를 선도하는 김영하 작가도 SF소설을 쓴 걸 보니 역시 SF가 출판계의 자극이 되어줄 트렌드가 분명하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타 장르보다 매니아들이 선호하는 SF소설이라는 장르가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은 김영하 작가에게 괜찮을까 염려했다. 하지만 우리를 지루하게 방치할 리 없는 이야기꾼인 작가는 영화 AI에서처럼 본인이 로봇이라 의심하지 않고 살아온 휴머노이드 소년의 화자를 내세워 설득력있는 이야기로 좀더 또렷하게 파고 들어와 질문을 던진다.


인공지능 기술은 날로 진화해 인간에 가까운 휴머노이드가 개발돼 인간과 함께 살며 통일을 이룬 미래의 한국, 또래보다 성숙한 것처럼 보이는 열일곱 살 소년 철이는 미등록 휴머노이드 수용소에 끌려간다. 거기서 클론인 소녀 선이와 휴머노이드인 민이와 지내며 여러 휴머노이드의 피폐한 삶을 목격하며 존재에 혼란을 느낀다. 인간의 삶이 휴머노이드로서의 삶보다 낫다는 전제는 누가 내린 것인가라는 질문이 갑자기 들었다.


통일 이후 이를 반대하는 세력과 전투용 휴머노이드는 내전을 꾀하며 정부는 혼란에 빠진다. 그리고, 인간들이 활용 후 처치곤란해 요양원에 버린 휴머노이드 가운데 일부는 의식을 백업해 전세계 네트워크에 올려 공유하며 스스로 진화를 거듭해 인간의 개입없이 인간보다 우수한 세계를 이룬다.


철이는 자신을 저지하는 여러 방해 요소를 물리치고 휴먼매터스랩 연구원인 아빠에게 돌아가기 위해 노력하는데 아빠를 다시 만나는 것만으로는 안일한 해피엔딩을 맞이할 수 없다. 어차피 인간은 죽음을 맞닥뜨려야 하는 유한한 존재이고, 혹 영원한 삶을 원한다면 의식 상태로 선택이 가능한 세상에 이른다.


어릴 적 보았던 '은하철도 999'에서 결국 기계인간이 되는 것을 포기한 철이와 이 책의 주인공 철이가 같은 이름인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닐 것이다. 영화 'AI'에서 부모가 결국 내다버렸던 휴머노이드 꼬마 아이를 향한 죄책감을 가진 채 이 책을 읽게 되는 것도 피할 수 없다. 주인공 철이는 의식으로 떠도는 삶 대신 인간처럼 육체를 가진 삶의 형태로 세상과의 작별인사를 원했다.


하지만 육체를 가진 유한한 삶이 의식으로만 존재하는 자유로운 삶보다 더 나을꺼라는 판단은 아직 그 기술에 닿지 못한 인간들의 쉬운 자포포기 결말이 아닐까. 세상에는 여러 종류의 사람들이 있으니 선택도 다양할 수 있고 유한한 '인간적인' 삶이 더 나을꺼라는 판단도 보류해야 할지도 모른다. 물론 그 전에 인공지능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는 현재 칼자루를 쥐고 있는 인간들이 겸허히 고민해야 할 부분이지만.


삶이 지긋지긋해서 다시 돌아보고 싶은 경우가 아니라면, 이 세상을 떠난 후 의식의 상태로 떠돌아다니다 사랑하는 이들을 다시 만나고 웃을 수 있다면 작별인사라던가 헤어짐, 죽음, 소멸 이런 것을 아파하지 않아도 되어 나는 차라리 좋을 것 같다.


SF소설이라는 것조차 잊고 읽는 재미 자체로 충분히 즐기게 해주고 생각할 기회도 주는 김영하 작가를 응원하지 않을 수 없다. 김영하 작가는 이 책을 '밀리의 서재'를 통해 발간해 '오리지널 종이책 정기구독' 가입자를 늘리는 비즈니스 모델을 실험하고 있다. 일반 서점을 통해서는 몇달이후에 유통된다고 한다. 꾸준히 책읽는 독자를 확보하기 위한 출판시장의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에 동참한 작가의 시도가 독서인구 확대에 기여하기를 응원한다.


우리는 의식을 가진 어떤 존재로 태어났어. 민이 네가 인간이든 기계든 그건 중요하지 않아. 수억 년간 잠들어 있던 우주의 먼지가 어쩌다 잠시 특별한 방식으로 결합해 의식을 얻게 되었고, 이 우주와 자신의 기원을 의식하게 된거야. 우리가 의식을 가지고 살아가는 이 잠깐을 이렇게 허투루 보낼 수는 없어. 민아, 너는 세상의 온갖 아름다운 것들을 다 보고 느끼게 될거야. 걱정하지마.


"잘될거야. 민이는 몸을 얻을 거고, 그러면 이 호수에 다시 오자."

"그냥 물이 고여있을 뿐인데 왜 이게 이렇게 가슴 시리게 예쁜 걸까? 물은 수소와 산소 분자가 결합한 물질에 불과하잖아? 그런데 왜 우리는 이런 것들을 아름답게 느끼도록 만들어진 걸까?


이른바 인간세가 끝나게 된 것은 SF영화에서처럼 우리 인공지능들이 인간을 학살하거나 숙주로 삼아서가 아니었다. 인간은 스스로 소멸해버렸다. 그들은 점점 더 우리에게 의존하게 되었고, 우리 없이는 아예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되었다. 우리는 인간의 뇌에 지속적으로 엄청난 쾌락을 제공하였고, 그들은 거기서 벗어나려 하지 않았다. 인간들은 번거로운 번식의 충동과 압력에서 해방되어 일종의 환각 상태, 가상 세계에서 살아갔다. 오래전 중국의 도가에서 꿈꾸었던 삶이 인간에게 도래햔 것이다. 인간은 신선이 되어 소멸해버렸다.


우주는 생명을 만들었고 생명은 의식을 창조했고 의식은 영속한다. 그 말을 믿고 싶어지는 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