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는 꼴찌부터 잡아먹는다 - 구글러가 들려주는 알기 쉬운 경제학 이야기
박진서 지음 / 혜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고 작성한 서평입니다.

세렝게티 초원, 무리지어 강을 건너는 누우떼를 본적이 있다. 살기 위해, 새로운 터전을 찾기 위해 건너는 강이지만, ,강속에 도사리고 있던 악어는 누우들의 바람을 져버리고, 기거이 희생양을 만든다. 책 제목 ‘악마는 꼴찌부터 잡아먹는다.’라는 책을 보면서부터, 생태계처럼 약육강식의 야생처럼, 뒤처지는 것들에게는 무자비한 자본의 경제체제가 문득 먼저 떠올랐다.


한편으로 누우를 물어뜯어 강물을 핏빛으로 만드는 악어는 나빠라고 할수 있을까라는 자연의 섭리에 대해 생각하다가 문득 대마불사라고,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위기이후, 정부의 지원으로 여러지원으로 되살아난 금융권 기업들에 대해서도 다시한번 생각을 해보게 된다.

Centris paribus. 대학 새내기 시절 듣게된 경제학 원론 교수님의 유머스러운 강의와 함께 이 문구는 아직도 잊어버리지 않고 내 머릿속을 맴돈다. 다른조건이 똑같은채, 하나의 변수가 있다면.. 하지만 그이후 배우게된 경제학은 복잡한 수식과, 가상의 영역에서의 가정놀음 때문일까. 곧 경제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흥미를 잃게 만들었다.

구글에서 일하는 저자인 ‘박진서’는 경제학에 대하여, 어찌보면 가장 우리 일상에 밀접해 있으면서도, 깊이 파고들면 어려운 경제학에 대하여 새롭게 풀어내고 있다. 꼴찌부터 잡아먹는 악마처럼 새로운 기술로 인한 신세계는 평범한 보통사람들의 직업을 빼았는다. 경제학이라고 하면 효율적임을 생각하는데, 이런 효율은 오히려 사람들의 직업을 빼았는 지경에 이르고, 그에 대응하기 위해 보통사람들의 연대를 이야기한다. 효율이라는 이름보다 다른 한편의 사람들의 행복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불평등했지만 개천에서 용이나던 과거에 대하여 다시한번 이야기한다.

책안에 담긴 전체적인 이야기가 희망에 대하여 말하고 있지만, 냉철한 경제학자의 세상에서 판도라 상자안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희망을 찾는 것같은 느낌이 들어 씁쓸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