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경제의 품격 - 인문·사회적 가치에서 찾은 경제 혁신의 길
김준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진국 경제의 품격

우리나라는 몇년전 경제 10위권안에 들어오고 선진국이라는 지위까지 얻어내었다. 그러나 지금은 세계경제 순위 13위로 떨어져나갔고 한국 경제 장기간 1~2%대 저성장 기조가 유지된다는 암울한 전망도 나오고 있는 시점이다. 이 책은 지금 한국 경제에 부족한 것은 무엇인지 돌아보고 기술과 휴머니즘이 공존하는 경제가 한국 경제의 미래 희망이라고 말한다. 김준영저자는 경제에도 품격이 있다면서 이 책을 썼는데 5가지 키워드를 통해 나아갈 방향들을 보게 해준다.


현재 정부는 물가도 못잡고 있고 음식값 과일 월세 모든 것이 급격하게 오르고 국민들은 살기가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 저성장, 불안의 시대속에서 미래경재를 실현해야 한다. 무엇보다 속히 준비하고 진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무엇보다 우리는 그저 경제이론으로만 따지면서 기계처럼 준비해선 안된다. 물론 많은 경제 전문가들이 있지만 이 책은 여러모로 필요한 선진국형 경제 실현에 다가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나는 아날로그 시대 사람인지라 경제에 대한 외침들을 줄곧 들으며 살아왔다. 다시말해 누군가의 말투처럼 갱제를 살리겠습니다. 라는 구호는 우리 모두의 잠재의식속에 깊히 뿌리박아왔다. 사실 경제는 지금도 정치인들의 구식 구호로 몇십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진리처럼 외쳐대고 있다. 저자는 우리나라의 특징들을 살리면서 우리나라 경제에 휴머니즘을 심어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나라만의 인문적이면서 사회적인 부분에서 휴머니즘을 강조하며 자본주의 윤리와 정신으로까지 넓혀간다. 


기술 휴머니즘 경제를 비롯해 선진국 경제 전략을 말해주는 이 책은 차가운 현재의 경제 분위기를 이끌어주는 경제 가치관을 보여준다. 이 책을 읽어나갈 수록 이 책을 중심으로 새판짜기 경제를 진행시키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해준다. 사실 한국경제에 대한 도서들은 무진장 많다. 서로 비슷한 점도 있고 다른 면도 있지만 이 책은 휴머니즘 가치와 상생발전 경쟁과 협력이 공존하는 시장경제 등. 이러한 주제를 바탕으로 최근 나온 경제서적중에서 어렵지 않게 풀어쓰면서 적용할 수 있는 좋은 도서가 나오지 않았나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강대국들이 어떤 정책을 피고 경제에 대한 무역보복등. 영향을 주는 것들로 인해 우리나라 경제에 타격을 많이 받는다. 현재도 앞으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좀더 내실있고 미래희망적인 한국경제의 기틀을 준비해나가는 대한민국 경제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개인적인 바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