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득 101 - 시간 주권을 잃어버린 사회 북저널리즘 (Book Journalism) 74
김찬휘 지음 / 스리체어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본소득 101

 

기본소득은 매년 이슈가 되었다. 정치권 사회 모두 마찬가지다. AI 로 인해 기본소득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AI 가 앞으로 자본주의 경제에 잠식하여 일꾼들이 대부분 대체하고 경제를 살리려면 반드시 기본소득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

 

김찬휘 저자는 녹색당 공동대표로서 기후 위기 대응과 생태적 전환을 삶의 지표로 삼고 있는 선거제도개혁연대 공동대표다. 그가 말해주는 기본소득은 기본소득을 둘러싼 수많은 오해에 기본소득의 기본서가 답이라며 이 책에서 설명해준다. 나는 우리 국민들이 이러한 비정상적인 대한민국 천민자본주의 구조와 불평등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린 이러한 사회문제에 대한 책을 많이 보면서 인식과 공유를 해나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저 부패한 인간들에게 끌려다니며 노예로 살아갈 수 밖에 없는 것은 분명하다.

 

그래서 나는 기본소득에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사람이다. 좀 더 자세히 말한다면 각 개인의 사회적 쓸모를 인정한다면 우리가 하는 활동이 무엇이건 그 활동의 사회적 쓸모를 인정한다면, 또한 모든 개인에게 충분한 삶의 질이 보장된다면 기본소득은 당장 실천해야 할 정책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거의 모든 사람이 사회에 이롭고 이로운 활동을 한 것에 대한 대가를 받는 것이다. 그 돈을 받아야 하는 이유는 간명하다. 누구나 인간다운 삶을 누릴 권리가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기본소득에 대한 정의이자 실행하여야 할 목적이다. 저자는 왜, 지금 기본소득인지에 대해서 말해주고 기본소득은 정말 사회주의인지에 대한 설명을 해주며 정치권의 기본소득 논의를 비롯해 기본소득의 지속 가능성과 이 외 궁금한 것들을 말해준다.

 

우리는 너무도 많은 시간을 일로 소진해 버린다. 그 바람에 내가 좋아하는 활동, 가족, 친구 등 인생에서 진정 소중한 것을 잊어버리고 만다. 인공지능이 인류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한 시대가 되면 그 땐 기본소득이 표준이 될지도 모른다. 그럼 미래에 해야 할 일인가? 아니다. 그렇기에 더욱 지금부터 기본소득을 실천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 인류가 나아갈 방향으로서 기본소득이 그 중요한 핵심이라는 것은 이제 더욱 당연한 현실이 되어간다는 것은 눈치채야 한다. 코로나로 인해 어쩌면 더욱 기본소득의 당연함은 더 빨라졌을 것이다. 저자는 기본소득의 오해와 자세한 기본소득의 핵심들을 잘 말해주어 독자들에게 기본소득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그렇기에 이 책을 대한민국 국민들 모두에게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