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비행기에서 쓴 비밀 쪽지 - 제11회 열린아동문학상 수상작 사과밭 문학 톡 4
임정진 지음, 하루치 그림 / 그린애플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행기에서 쓴 비밀 쪽지

 

임정진 글 l 하루치 그림

초판 1쇄 인쇄 202259

펴낸 곳 비전비엔피 그린 애플

 

비행기에서 쓴 비밀쪽지

귀로 만든 수프

아까시꽃을 먹고

서 있는 아이

나는 어디로 가나

그대를 위해 촛불을 밝힙니다

 

- 작가의 말 중에서 -

입양을 보낸 부모님들의 마음도 편치 않았을 겁니다. 하지만 입양인이 겪는 마음의 고통은 짐작하기 어려울 정도로 클 것입니다. 여기 실린 이야기들은 제가 들은 이야기와 신문 기사 등을 참고해 이런저런 상상의 내용을 붙여 쓴 동화입니다.

한국은 해외 입양을 더 이상 보내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려면 모든 어머니들이 어떤 상황에서든 자기 아기를 키울 수 있도록 우리 모두 힘을 합해야 합니다. 정말 친부모다 키우기 어려운 경우라면 국내 입양을 해야겠지요.

해외 입양인들이 용기를 갖고 씩씩하게 살아 나가길 기원합니다.

청연당에서

임정진

 

- 아까시꽃을 먹고 중에서 -

생모에게 연락을 했는데 깜짝 놀라면서 자기를 잊어 달라고 했대. 죽었다고 생각하라고 너무 미안하지만 만날 수 없다고.”

이모의 말에 나는 쿠션을 끌어안고 결국 울먹거리며 말했다.

이모, 그건 말도 안 되지. 왜 자식이 엄마를 못 만난다는 거야? 그 엄마가 감옥에 있는 거야?”

엄마는 내가 울먹거리자 다가와 날 안아 주었다.

내가 만일 어른이 되어서 엄마를 만나러 갔는데 엄마가 문도 안 열어 주고 만나기를 거절한다면 정말 너무 슬플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생각만 해도 끔찍했다.

그냥 아들이 얼굴 한번 보고 싶다는 거잖아. 루디아, 혹시 그가 엄마아게 뭘 요구한 거야?”

엄마가 믿기 어려워 다시 물었다.

무슨 다른 요구를 하겠어. 35년 만에 엄마 얼굴을 보고 싶은 게 세상에서 가장 큰 소원인 사람인데.”

대체 이유가 뭐래? 생모가 왜 아들을 안 만난다는 거야?”

엄마는 루디아 이모가 그 생모인 것처럼 따지듯 물었다.

아이를 낳은 적 없는 것처럼 하고 결혼을 했대. 지금 아주 잘산대. 그래서 아들이 나타나면 자기 인생이 다 무너진다고, 세상에 좋은 부모만 있는 건 아니잖아.”

그 말에 엄마도 기운 빠진 표정이 되었고, 난 엄마 가슴에 얼굴을 기대고 손등으로 눈물을 닦았다. **

 

이 책은 세상의 모든 부모, 부모를 준비하는 어른들이 필독서로 읽어야 할 책이다.

길고양이도 제 새끼를 낳으면 세상 밖에서 스스로 살아갈 수 있도록 보살피는데, 하물며 사람으로 태어나서 부모가 되어 자식을 제대로 성장시키는 건 당연하다.

어릴 적 아픔은 트라우마, 징크스가 되어 평생 따라다닌다. 어른이 되어서도 비슷한 경험을 겪을 때 어린 시절 고통을 저절로 꺼내게 된다.

몸과 마음이 자라는 시간에 가장 사랑받고, 의지해야 할 부모로 인한 고통은 평생 숙제로 남는다.

 

아이가 태어나 성장하기까지 어른들로 인해 겪지 않아야 할 고통을 버텨야 한다는 건 가장 아프고 슬픈 폭력이다.

세상은 평등하고 누구나 평화와 자유를 누릴 권리가 있지만, 세상이 어디 뜻대로 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의 울타리는 가정과 가족이 되어야 한다.

아이들이 아이답게 아이다운 고민으로 스스로 세상을 배울 수 있는 길의 가장 큰 거름은 부모의 힘이다.

 

[비행기에서 쓴 비밀 쪽지]를 읽다가 책장을 덮었다. 일주일째 책을 바라만 보았다. 기억조차 하기 싫은 깊은 아픔이 파도처럼 밀려왔다. 나는 잘 버텼고, 잘 살았다 싶었지만, 글 몇 줄에서 벗어날 수 없는 수렁을 허우적거리는 나를 발견하곤 멍했다.

 

비행기에서 쓴 비밀쪽지는 임정진 작가님께서 열린아동문학상을 수상하실 때 낭독을 해서 술술 읽혔다.

귀로 만든 수프역시 문학지에 발표된 글이라 우아! 킥킥거리며 재미나게 읽다가, ‘아카시꽃을 먹고를 읽다가 뜨거운 울음이 차올라 숨을 쉴 수 없었다.

 

난 열한 살부터 마흔일곱 살까지 엄마와 네 번 헤어졌다. 보이는 건 엄마에게 네 번 버림받았고, 솔직히 말하면 내가 엄마를 네 번 버렸다.

엄마가 나를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죽을 만큼 보고 싶을 때마다 전국으로 수소문해 엄마를 찾았다.

엄마와 소식이 닿으면 내가 먼저 엄마를 떠나왔다.

그 이유는 간단했다. 엄마는 내 존재를 알리기 싫어했기 때문이다.

 

삶도 자연처럼 만남과 이별 역시 자연스러운 일이다.

난 너무 어린 나이에 엄마 처지를 이해하며 이별에 대한 고통을 삼켜서 애 늙은이가 되어버렸고, 씩씩한 척, 용감한 척하느라 고통을 뱉는 법을 익히지 못했다.

다행인 건 이별의 고통은 책임감과 의리로 똘똘 뭉친 어른을 만들었다. 어릴 적부터 나는 우리 엄마처럼 내 딸들에게 같은 고통을 주지 않겠다고 다짐하며, 두 딸을 잘 키웠다.

 

그리고 난 지난 3년 해녀 어머니들과 울고 웃으며 이야기를 짓는 동안 엄마에 대한 원망, 이별에 대한 고통이 점점 희미해졌지만, 여전히 이별이 두려워 사람을 사귀지 않았다.

다가오는 사람조차 의식적으로 피했다.

그러면서 보고 또 보고 생각하고 또 생각하며 어렵게 사람을 얻었다.

해녀 어머니들처럼 만나는 동안 최선을 다하면 설령 이별해도 후회가 없을 것이라며 사람과 사람 관계에 무던히 애를 썼다.

 

그래도 이별은 아프더라.

내 나이 쉰한 살, 누구를 만나고 헤어짐에 익숙할 만큼 살았지만, 여전히 이별 앞에선 열한 살, 아이가 된다.

시절 인연이라 애 닳지 말라 하지만, 나는 소중히 여겼던 사람이 떠나가면 시간이 멈춘다.

? ? ? 잡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면 스스로 수렁 깊숙이 빠져든다.

 

바닥까지 치고 헤쳐나와 다시 일어섰을 땐, 다시 엄마가 떠오른다.

우리 엄마 형편에 나한테 그 정도 한 것도 힘들었을 거야.’

그러면서 떠나는 사람을 위해 기도를 드린다.

그 사람 성품에 나한테 이 정도 하기 힘들었을 거야.”

이렇게 내가 이별을 딛고 책장을 다시 펼치기까지 일주일이 걸렸다.

 

사람들은 쉽게 말한다.

부모를 이해해라. 그냥 잊고 네 인생 살아라.”

그게 살면서 최고 어렵더라.

스스로 극복해야 할 트라우마와 징크스는 끊임없는 노력과 아픈 나를 들여다볼 시간이 필요하다. 나는 [비행기에 쓴 비밀 쪽지]를 통해 이별을 극복하며 다시 태양과 마주한다.

우아! 태양은 모두에게 공평해서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마나 작아질까? 어디까지 발달할까? 나노 기술과 첨단 세계 - 나노의 세계는 미래를 어떻게 바꿀까? 초등융합 사회 과학 토론왕 53
이상미 지음, 신성희 그림 / 뭉치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려워 피하는 과학을 재밌는 이야기로 엮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판타지 과학 동화책을
지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어른과 어린이가 함께 읽다가
저절로 이야기꽃을 피우겠어요.
작가님께서 열심히 공부한 흔적에 존경합니다.
이상미 작가님, 다음 동화책 얼른 써 주세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22-05-03 05: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넘 감사합니다
 
섬을 잇는 아이 바우솔 문고 5
예영희 지음, 정수씨 그림 / 바우솔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숨에 읽었지요.
왜냐구요?
저 책에서 우리 가족을 보았거든요.
들추기 싫어 가슴 깊이 꾹꾹 눌러 뒀던 눈물 젖은 조각보를 꺼냈어요.
하나 하나 어루만지는 사이 조각보는 시원한 코발트 색을 찾았어요. 고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섬을 잇는 아이 바우솔 문고 5
예영희 지음, 정수씨 그림 / 바우솔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집이나 있을 이야기를 게임과 그림 한 장으로
재미나고 따뜻하게 풀어 낸 초긍정울트라파워 짱.
서로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소통의 첫걸음이라며
동화만큼 관계를 잘 잇는 예영희 작가님, 애 쓰셨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을 타는 배
안덕자 지음, 최현숙 그림, 앤디 톰슨 옮김 / 시와동화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꿈에 대한 이미지다.
산에서 태어난 나무는 배가 되어 바다로 갔다.
평생 사명을 다하면서 다시 산으로 돌아가는 꿈을 꾼다.
절망의 순간에 그간 사랑을 나누었던 가마우지를 만나며
꿈을 찾아가는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