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 비문학 독해 연습 기본편 (2022년용) 중학 비문학 독해 연습 (2022년)
정송희 외 지음 / 지학사(참고서) / 2019년 1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비문학 독해 연습은 손 놓을 수 없어서 어떤 참고서로 이어갈까 고민하던 와중에


지학사 서포터즈 소식을 접하고 중학 독서평설과 중학 비문학 독해 연습 교재를 만나봤습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독해력 문제집은 매일 조금씩 비문학 독해 지문을 읽어가는 훈련을 하다 보면


참고서가 금새 끝나버려요..... 집에서 지내는 동안

 

그렇게 비문학 독해 문제집을 몇 권 끝냈는지 모르겠네요.^^


그래서 또 새롭게 다른 비문학 독해 참고서를 찾다 보니 지학사 교재까지 연이 닿았습니다.

​존재하는 것은 알았지만 이번에 처음으로 지학사 중학 독서평설도 만나보구요,


손 놓을수 없는 비문학 독해 참고서로 초6 가니에게 맞는 단계인

중학 비문학 독해 연습 -기본편- 을 골랐어요.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중1에 이르기까지 부담없이 독해 훈련을 할 수 있는


중학 비문학 독해 연습 기본편.


인문 / 사회 / 과학기술 / 예술 / 통합 지문까지 시의적절한 주제의 지문들을 싣고 있어서 좋더라구요.


아이들이 세상을 경험하면서 그저 느낌으로 받아들이는 것과


논리정연한 글로 다양한 주제의 비문학 독해 지문을 접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해요.


비문학 독해 지문에서 내용의 핵심이 무엇인지, 제기된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없는지 등등.... !

중학 비문학 독해 연습 기본편은 현장에서 가르치는 선생님들의 자문과 검토를 거쳐서

중등 맞춤으로 만들어진 독해 연습서예요.


초등고학년부터 중2까지, 비문학 독해력의 기본을 다지고자 하는 학생에게 권장합니다.


​초6 가니에게 알맞은 수준이예요.

 

 

중학 비문학 독해 연습 기본편은 크게 두 개의 갈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독해 기술독해 실전.

그래서 총 46개의 지문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중학생 수준에 맞는 지문 독해를 만나보고 이어 문제풀이 훈련이 가능합니다.

 

독해 기술에서는 글의 핵심 요소를 짚어보고


지문마다 "단어 미리보기" 를 먼저 보여줌으로써


 어휘력과 독해의 유기적 상관성을 훈련할 수 있게 만들어져 있더라구요. 


지금까지 비문학 독해 참고서를 여러 차례 구입해서 공부해 봤지만


이렇게 독해 기술을 알려주고 지문을 통해 익히게 하는 교재는 처음이었어요.^^


여기서부터 아주 만족도 높았습니다!!


막연하지 않게 독해 기술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줘서 명쾌하고 좋았어요.


​지문에서 여러 번 반복되는 단어를 찾고 그것을 통해

중심 화제(글쓴이가 주목하는 대상) 를 찾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반복이 된다는 것은 강조하고 싶다는 의미겠죠!


독해 기술을 접하고 나서 생각해 보니 너무나 상식적인 부분...

 

평범하지만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중심 화제를 파악하는 것에 대해 배웠으니 이제는 좀 더 디테일하게 들어가요.


지문에 있는 지시어나 접속어에 주목하는 것도 중요해요.


문장 간의 관계, 행간을 파악할 수 있는 포인트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지문의 중심 문장도 찾아보면 좋겠죠.


우리가 문장 간의 관계를 넘어서 문단 간의 관계를 이해하려는 데에는

궁극적으로 지문이 말하고자 하는 주제를 파악하려함에 있습니다. ​

​소설도 주동 인물과 반동 인물이 전체를 끌고 가듯이,


한 문단에도 중심 문장과 뒷받침 문장이 있고


문장들을 면밀히 들여다 보면 주제가 보이기 시작하거든요.

비문학 독해는 소설과 다르게 논리적인 글이기 때문에 중심 화제, 문장, 문단을 각각 

분석적으로 보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각각 본다음 유기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것도 놓치면 안되구요.


 

 

 

 

이렇게 분석적으로 비문학 독해 참고서를 본 적이 딱히 없었던 거 같아요.


제가 아는 선에서 설명해 주는 것에 그쳤던 경험.


문단마다 각각 중심 문장이 있고 그걸 찾아보는 훈련을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기존에 비문학 독해 참고서를 공부할 때마다 했던 훈련이긴 한데


지학사 국어교재를 이렇게 만나서 구체적인 기술들을 접하고 보니


비문학 독해에 대한 지평도 넓어진 것 같아 개인적으로 참 흡족합니다.^^

 

글 읽기의 기본에 이어서 이제는 실제로 들어가요.


글 읽기의 기본에서 지문마다 갖는 내용 전개 방식을 기억하면서


1) 지문 안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


2) 정보 간의 관계


3) 주제


4) 글을 쓴 이유와 글쓴이의 의도 파악하기


이 네 가지에 집중합니다.

세포 사멸, 우리 몸에 필요한 안전 장치인 몸 떨림, 두족류 등등


주제도 영역별로 아주 다양해요.


내용들이 흥미로워서 상식도 넓힐 수 있고 분석적인 독해를 훈련하기에도 좋은 지문들이죠.^^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중심 생각, 주제를 파악하는 훈련도 지문을 통해 해봅니다.


사실 비문학 독해 참고서를 공부하려면 책읽기가 어느 정도 바탕이 되어야


아이가 조금이라도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어요.


일단 비문학 독해 지문들이 아이들이 막~ 재밌어할 내용들이 사실 아니잖아요.


오히려 같이 보는 부모들이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서 재미를 느끼는 경우가 더 많은 ㅋㅋㅋ

아이들은 보통 관심도 없고 말이죠. ㅋㅋㅋ


다양한 주제의 비문학 독해 참고서를 접하지 않을 때 아이들은 논리적인 글에 대한 경험이 없다 보니


어쩌다 보게 되면 낯설어 하고 그걸 시험으로 평가받아야 하는 경우에는


어렵게 느끼기만 하는 악순환의 고리~~~!


비문학 독해 공부를 해야 한다니까 참고서를 가지고 공부는 해야겠지만


그 전에 먼저 책읽기의 즐거움을 익히는 과정이 선행되면 좋겠다 싶어요.^^


그래서 초6 가니의 경우 지인에게 통 크게 선물 받은 지경사 세계명작이 있어서


그것으로 책읽기의 즐거움을 느끼면서 비문학 독해 연습도 하고 있어요!!


읽기는 문학과 비문학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또한 중요하니까요.


 

 

 

 


다음에는 독해 실전으로 넘어가 볼까 해요.


인문 / 사회 / 과학기술/ 예술 / 통합


독해 실전에 있는 40개의 다양한 주제를 가진 지문들도 기대됩니다.^^


초딩 부모가 가장 상식이 풍부하다고 하는데


바로 이런 경우를 두고 하는 얘기 같기도 하구요 ㅋㅋㅋ


중학 비문학 독해 연습 기본편 덕분에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