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성의 리딩 리드 및 생각하는 인문학과 러스킨의 나중에 온 자에게도

이지성의 리딩 리드는 참으로 감동깊게 읽었다. 물론 그 이전에 여자라면 힐러리처럼의 고전독서 부분은 더욱 감동깊었다.
하지만 리딩 리드를 쓰면서 그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안는 전제를 둔다.
진정한 인문학 천재라면 정신병에 걸리지 않을 거라는 그런 논리 말이다.
정신병은 후천적인 경우도 있겠으나, 선천적인 부분이 많다.
그러므로 그의 논리대로라면 사회개혁에 힘을 썼지만 정신질환이었고, 에피 그레이와의 결혼 생활이 파탄났던 존 러스킨은 인문학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생각해볼 때 자유주의 경제학이 잘못 되어 우리 사회가 불행하다면서 이지성은 거기에 대한 제대로 된 답변을 내놓지 못한다.
그저 우리가 좀 더 노력하고, 강하게 성장하지 않으면 안된다며 자신의 책을 권할 뿐이다.
그가 인문학의 대가라고 칭송하는 존 스튜어트 밀의 논리를 반격하는 – 이지성 본인은 실천과 지성이 함께 있는 존 스튜어트 밀을 칭송하지만-존 러스킨은 언급되지도 않는다.
존 러스킨의 나중에 온 자에게도...를 읽었더라면 그저 일방적인 밀에 대한 찬가가 가능했을까?


물론 밀에 대해서는 정신적인 부분을 짚고 넘어가나, 그 논리는 빈약하다.
정신병을 앓는 자는 전부 다 제대로 된 인문 교육을 받지 못한다니...
그 논리는 도대체 어디에서 나온 논리인지 알 수 없을 뿐이다.
천재는 광기다. 이렇게 말할 생각도 추호도 없다. 그렇다고 정신병에 걸리지 않는 자가 훨씬 더 행복한 교육을 받았다. 이런 논리는 더더군다나 받아들이기 어렵다.

존 러스킨은 책에서 밀의 논리를 반박하며, 그 당시 벌어지고 있던 노동자들과 부르주아들의 빈부격차, 해소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경제학에 대한 러스킨의 반박은 통쾌할 정도인데...
다만, 그것이 일일이 적용하기 까다롭고 다소 미술을 설명하는 느낌이라...(이건 윌리엄 모리스의 생각과도 거의 비슷한 듯한...다만 라파엘 전파쪽의 주장은 거의 비슷한 것 같다.)
그러나 그 당시 자신의 계층을 생각해보았을 때 러스킨의 생각은 혁명이라고 생각한다.

요즘 러스킨과 같은 위치에 놓인 사람들이 러스킨처럼 빈부격차를 줄이고, 부르주아들의 탐욕에 대한 지적과, 노동자들의 좀 더 좋은 환경에 대한 주장을 하는 경우가 있었던가?
이지성 선생은 물론 지적했다.
재벌들이 하고 있는 행동은 옳지 않다. 고.
그러나 지금 그가 하는 행동은 재벌로 향하는 고위 작가의 행동에 더 가깝다.
그가 그 논리를 팔아먹을수록 그는 더 높아지고 우리와 멀어진다.
물론 그는 선량하고 훌륭한 기독교인이다. 그는 오지의 아이들을 위해서, 그리고 사회의 빈민 아동들을 위해서 집을 지어주고, 학교를 지어주고, 인문학 교육을 한다.

그러나 그것은 아이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를 위한 것이다.
그는 모든 경험을 책에 풀어내고, 그를 위한 모든 사실을 책에 적는다. 실수했다거나 잘못되었다거나...그런 부분은 없다. 다만 나는 선량하며, 내가 한 모든 일이 다 맞지 않느냐고 말할 뿐이다. 그 논리 중에 내가 사회를 위해서 이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부분은 없다.
인문학은 그저 올바른 정신의, 좀 더 잘 살기 위한 그런 학문인가?
그의 교육에 대한 논리를 보며 그런 생각을 한다.
힘겨운 정신의 끝에서 끝까지 사회를 위해 생각한 존 러스킨의 사상을 그도 좀 생각하면 좋겠다. 
그저 인문학을 제대로 배운 사람들은 천재였다. 그런 소리 하지 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