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설을 쓰다가 막혀버려서... (요즘 자주 이래서...차라리 한동안 푸욱~ 내버려둘까 싶음. 다른 게 아니라 장편 그림자의 햄릿을 말합니다...애초에 무리였나 싶기도 하고...)
소설은 한동안 쉬기로.(읽는 것이 있어야 쓸 것도 있지 싶기도 하고...단편쪽은 연습삼아 계속 들어갈듯 합니다...질은...;;;;;;글쎄요. 슬럼프 기간이라 잘 할 수 있을지?)
요즘은 계속 읽고 듣고 하는 중입니다.
2. 연휴기간동안 라 트라비아타(춘희)를 두가지 버전으로 듣고 있습니다. 하나는 국내용인듯 하고, 하나는 해외에서 라 트라비아타 베스트 아리아를 넣어준 모양입니다. 얼굴만 봐서는 한국인이 여주인공인듯 한데 설명서가 없으니 알 수가 없군요.
네이버 뮤직! 각성하라! 해외판이라도 설명을 넣어달라고!!!!
설명을 모르니 알 수가 없잖아.
클래식이 망해가는 이유 중의 하나가 설명부족이 아닐까 싶은 요즘입니다.
3.
이건 조금 어처구니 없는 이야기인데, 힐러리 한을 음원으로 듣다가 higdon, 차이코프스키(이것도 영어로 적혀 있었음.)이 나오길래, 아...하이든하고 차이코프스키라고? 좋겠네~
라고 틀었다가 지옥을 맛봄.
하이든이 아닌데...;;;;;;;채찍이 난무하는 이 곡이 과연 하이든이란 말인가?
듣다가 2번에서부터 질려버려서 검색엔진에 영어로 넣어봄.
제니퍼 히그돈이라는 작곡가가 힐러리 한에게 헌정한 곡이라고...(히익. 헌정을 뭐 이리 살벌한 곡으로...더더군다나...이런 곡을...)듣고 싶으시면 말리진 않습니다. 힐러리 한으로 검색하면 금방 떠요. 하지만 듣고 원망해도 늦은 겁니다.
제 취향은 확실히 아니거니와, SM 플레이를 연상케 하는 거칠고 음습하고 사나운 곡이에요...(부들부들)
이래서 영어를 잘해야 한다고 하나 봅니다.(하이든은 이 영문이 아니래요...)
하여간 설명 좀 해줘요. 음반사가 안되면 파는데서라도 좀 해주면...
4.
읽는 건 요즘 프로이트...오늘 잡았는데 약 1/4 정도...? 생각보다는 재미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