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이때다! 하고 지르는 시기가 있다. 나한테는 여름이 딱 그 조건에 알맞달까.

휴가니까 상을 줘야해. 라는 마음으로 열심히 질러대는데... 이게 다 사채업자한테 고리대금으로 엮이기 좋은 조건이다.

 

어쨌든 그 물건 중에 비발디의 바자제...가 들어갔다. 한곡도 안 들어보고 비발디니까! 라는 이유로 지른 바자제...

들어보니 내가 들어본 곡도 있고(한곡, 조수미 바로크 연주곡이었다고 한다. 나는 학대받는 아내라오...라나.)그 한곡이 끼어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곡 전체가 호감으로 돌변(이게 비비카 주노와 유러피안 갈란테, 내가 애정해 마지 않는 파비오 비온디가 있다는 사실도 물론 있다.)

며칠 째 전곡 듣기를 시도했는데 오늘 달리는 차 안에서 마지막 바로 앞곡까지 들었다.

(집에 돌아와서 마지막 곡도 들었고. 그러나 세세한 감상을 쓰기에는 좀 모자란다. 더 들어봐야겠다.)

 

얼핏 듣자하니 스펠링으로는 바자젯 이라고 표기되는 듯 하지만 읽기에는 바자제가 맞다는 듯...

(부족한 지식으로 떠들고 있으니 바로 알고 계시는 분은 지도편달을 부탁드립니다.)

나는 이곡에 대해선 잘 모르겠지만 적어도 파비오 비온디는 그가 지휘와 연주를 맡은 사계 두 버전에 대해서는 몇번 들어서 내 나름대로의 감상이 있다.

 

파비오 비온디, 유러피안(아?) 갈란테는 내 손에 들어온 사계만 두가지 버전이 있는데

한개는 이무지치와 크게 다르지 않는 보편적이라고 할 수 있는, 굴곡이 거의 없는 버전이고

다른 버전은 왜곡이랄까, 아니면 자기 스타일대로 좀 나갔달까. 굴곡이 좀 많은 나무 나이테가 그대로 드러난 첼로를 만지는 듯한 느낌이다.(이게 설명이 좀 그런가? 거기다가 좀 더 추가하면 그 첼로를 손으로 만지면서 천천히 연주하는 느낌이라고 해도 좋을 것 같다. 내가 연주하는 것 같다. 즉 그런 뜻이다.)

 

바자제는 오페라라서 그런가, 첼로를 연주하는 그런 느낌은 없지만, 아마 다른 지휘자의 지휘로 들었다면 좀 더 평탄한 분위기였을 것 같다.

한번쯤 다른 지휘자가 연주하는 바자제를 들어보고 싶다.

물론 내가 좋아하는 작곡가 비발디이니(사계만 열심히 들어놓고!그래도 20까지 오면서 겨우 좋아하는 작곡가가 생겼군.)만큼 다른 버전도 물론 좋게 들릴 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