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가르쳐 준 비밀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지 어언 10년이 다 되어간다.(10년 넘었던가?)

그 당시 생소했던 가부키 , 노, 골동품, 도예 등을 유령 이야기들과 엮어나가면서 점점 일본 문화에 빠져들게 하는 주역 중의 하나였다.

그런데 지금은...같은 일본인에게도 '지루하다. 재미없다.'는 말을 듣고 책에 직접 그 이야기를 써놓을 정도가 되었다.(아마 바쿠만 식으로 하자면, 곧 그만 두게 될지도 모른다는 선언인지도 모른다.)그것은 아마도 현재의 만화를 소비하는 젊은, 아니 어린 세대가 그들의 문화와 단절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 같다.

그들에게는 노의 의미나, 가부키의 의미가 예전에 비해서 얕은 것이 아닐까...하지만, 사실 그들에게 너무 일상적이어서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한다. 너무 익숙해져서 짜증이 난 게 아닐까. 뻔한 소리를 하고 또 한다고...;;;;;;

 

일본인을 그다지 좋아하진 않고, 더더군다나 히데요시라면 치가 떨리는 나지만(나만 그렇겠냐만은.)옛날부터 일본에 대한 호기심도 제법 있었던지라...

얼마 전부터 노리고 있던 책을 득템했다. 아마노 후미오의 노가쿠.

세상이 가르쳐 준 비밀은 주로 가부키와 기모노 같은 것들을 다루지만, 가끔 아주 가끔 노도 다루긴 하는 모양이다. 노에 대한 내용이 15권에 나오는데 의미심장하게도 다정다감한 부친이 술을 즐기다가 죽어 성성이 장식 그릇에 들어간다는 내용이다.

평소에 효자였고, 다정한 사람이었으니 죽으면서 혼처가 없는 딸이 불쌍해서 성성이 그릇에 들어갔던 것이다. 나는 내용이 궁금했지만 그 노에 대한 설명은 세상이 가르쳐 준 비밀에는 없었다.

 

그런데 오늘 아마노 후미오의 노가쿠를 읽으니 그 성성이 그릇에 대한 유래는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의 노, 성성이를 주제로 한 것이라고 한다. 1막과 2막이 있는데, 1막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이후로 상연을 하지 않아, 2막만으로는 내용파악이 다소 어렵다고 한다.(1막에서 물을 채운 그릇을 가져간 후 2막에서 술을 가득 넣어 돌려주었다는 내용이 설명이 안된다고 한다.)

중국을 무대로 하며, 효자 고평의 이야기를 다루었다는데...

책 지면이 많지 않아 설명은 거기서 끝나 있었다.

 

하여간, 노와 우타이를 제대로 알지 않으면 그게 반영된 작품을 읽기도 쉽지 않고 이해하기도 어려운 것이...아마 그래서 재미가 없다는 말이 나오는게 아닐까...;;;;;(물론 하츠 아키코 여사가 다소 안일한 구석도 있다는 건 인정한다.)나도 알고 있는게 아니니, 그저 이 책 저 책 사모으다가

서로 매치해서 이해하기도 하는 거고...

그러니까 결론은?

 

책을 많이 읽어야 문화도 이해할 수 있다...는 거.

오늘 노가쿠를 읽으면서 머리의 돌을 약간 제거했다...(땅땅! 돌 깨지는 소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