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일엽은 그렇게 오래된 찻집은 아니었다. 시골에서 기본 20년 넘게 살아야 겨우 좀 살았군. 이라는 평판을 듣는 곳에서 죽일엽은 이제 겨우 발디딤을 시작한 아기였다.
이제 5년이었으니 말이다.
문제는 그 치열한 질투와 질시를 이겨내기에는 죽일엽의 형편이 그다지 좋지 못했다.는 것이다.
죽일엽이 방송에 소개되고, 인근 입소문으로 흥해갈 기미가 보이자, 근처 농민들이 죽일엽이 하는 곳의 길을 막았다. 그리고 등록할 때도 일부러 빠지게 하거나 조합원으로 일할 때 불이익을 주기도 했다.
“이곳이 죽일엽입니다.”
다른 의원의 보좌관에서 병률의 보좌관이 된 젊은이가 불퉁한 어조로 말했다.
“주인장을 만나야되지 않을까?”
병률의 말에 그는 심통맞은 얼굴로 대꾸했다.
“만나서 뭐 하실 이야기라도 있으십니까?”
“아니, 그건 아니지만.”
“잊지 마십시오. 당신은 아직 의원이 아닙니다.”
“......”
병률이 비웃는 얼굴로 대답했다.
“물론이지. 무슨 의도로 이곳에 보내셨는지 잘 알고 있어.”
“사모님은요.”
“죽일엽에 손님으로 들어가 있다는군. 한 10분 기다리면 오겠지.”
“...발악하는 주인장이랑 만날까봐 걱정되네요.”
죽일엽의 분위기는 침통했다. 오는 길, 가는 길을 다 막아버린 탓에 손님들이 잘 오지 못하게 되기도 했다. 살려보겠다고 높은 분 사모님들이 움직이기도 했지만, 그저 요행히 비장의 차로 남겨둔 걸 탐내기만 할 뿐이었다.
그런 분위기다보니 늘 차맛에만 신경쓰다가 당한 일이라며 울화를 터뜨리는 남편도 걱정거리였다.
“잘 마셨습니다.”
윤희는 그렇게 말하고 다구를 내려놓았다. 비록 제대로 된 교양있는 부인은 아니었지만 차를 마시고 난 후의 얼굴을 보면 그 모든 품위가 남겨 있는 것 같았다.
“......”
일어났을 때 순간 길준의 얼굴을 본 것 같았다. 양복이 늘 어색하던 그 길준은 아니었지만, 분명히 그녀가 아는 길준은...!
“이 돈 받으시고, 다른 곳으로 옮겨가시는 겁니다.”
“결국 쫓겨나는 게 우리 신세군. 차농사만 열심히 지었는데...”
“아니오.”
길준이(그녀는 확신할 수 있었다.)천천히 말했다.
“여기서 더 확장을 하시는 겁니다. 조금만 터를 옆으로 옮기면 되지요.”
“...길을 막고 있는 건 어떡하고.”
“그 길도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자기네들 길일때만 그렇죠.”
“근데 이 돈은 왜...”
“아, 제가 사업을 좀 하려고 합니다.”
윤희는 그를 부르려다가 멈칫했다. 뭔가 일이 이상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정신병원으로 들어간 후, 사건 용의자로 지목되면서 도주.
그 이후에 종적이 묘연했던 그가 사업가로 움직인다? 그것도 친한 친구인 병률에게 연락도 하지 않고? 뭔가가 있었다.
“차를 이용한 과자나 젤리같은 걸 만들어보려고요.”
“......”
그리고 두 사람이 자리를 옮겼다. 윤희는 더 이상 그들의 말을 듣지 못했다.
천천히, 아주 천천히 윤희는 계산을 마치고 출입구로 나왔다.
남편과 보좌관이 기다리고 있었다.
잘은 모르지만, 남편은 아마 길준과 같은 편은 아니리라...그리고 남편에게 길준을 보았다는 말도 못하리라...그녀는 그렇게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