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마디로 낚였다!
어지간하지 않으면 함부로 손대지 않는 분야가 있다. 바로 심리관련서와 자기계발서이다. 전공과 관련해서 들춰보는 프로이트나 라깡의 이론들 외에는 서점에 가서도 가장 인색하게 곁을 주는 책들이 바로 이 두 종류의 서적들이다. 고아노 아츠시(小欲野敦)가 <약한 자의 변명>에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세상에는 자기 자신을 찾았다고 해서 무언가를 구현할 만큼 대단한 자기를 가진 사람은 거의 없다"고.1) 인간은 결코 이성적, 합리적 존재가 아니라 오히려 이성의 신화로 포장된 감성적 동물이라는 사실이 새삼스러운 것은 아니다. 이는 굳이 심리학 개론을 들춰보지 않아도 지금의 자기 자신을 들여다보기만 해도, 자신의 삶을 잠깐 동안만이라도 반추(反芻)해보기만 해도 알 수 있는 부정할 수 없는 사태(事態)인 것이다.
심리관련서/자기계발서를 읽는 목적은 대개 자기 자신을 알고 싶거나 자신을 변화시키고 싶어서일 것이다. 나 자신을 알고 싶은가? 그렇다면 이런 피상적인 심리학 개론서를 읽지 말고 차라리 문학작품을 곱씹어가면서 읽어보자. 짧은 단편이던 장편소설이던 거기에 등장하는 수많은 인간군상의 특징과 엉킨 실타래와 같은 갈등의 양상을 파헤쳐보자. 시 한 편에서 나 아닌 한 타인의 내면의 풍경을 훔쳐보거나 예민한 감수성의 절규를 들어보자. 예컨대 요즘 읽고 있는 파스칼 키냐르의 <은밀한 생>은 상실, 사랑, 욕망, 결어, 두려움 등 모든 심리학적 주제에 대한 탁월한 보고서이다. 작가의 난해한 언어의 숲을 잘 헤쳐서만 갈 수 있다면 거기서 '나 자신'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사유를 만날 수도 있을 것이다. 나 자신을 변화시키고 싶은가? 무의식의 상처라고 하는 심연이, 갈등의 변증법적 전개가, 욕망의 질주가 문제가 되는가? 그것은 이런 저런 매뉴얼에 의하지 않더라도 자기 자신을 잘 들여다보면 변화의 방향과 내용이 보인다. 그 내면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침묵의 시간을 갖는 것이 아마도 가장 어려운 일이겠지만.
1) 요네하라 마리 (이언숙 옮김): 대단한 책. 마음산책 2006, 38쪽에서 재인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