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리다 & 들뢰즈 :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 - 데리다 들뢰즈 지식인마을 33
박영욱 지음 / 김영사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영사의 <지식인 마을> 시리즈의 하나로 출간된 <푸코 & 하버마스: 광기의 시대, 소통의 이성>(하상복 지음)은 푸코와 하버마스에 대한 탁월한(!) 탄탄한 입문서였다. 데리다와 들뢰즈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기대를 하고 이 책을 읽기 시작했으나 <지식인 마을> 시리즈로 출간된 책이라 하더라도 항상 일정 정도 이상의 학문적 질을 보증하지는 못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1. 저자는 데리다와 들뢰즈 사상의 핵심을 논하기보다는 그들의 '예술론'을 논할 것이라고 '프롤로그 1'에서 공언했다. 그러나 이러한 전제는 사상가의 핵점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이 시리즈의 본래 의도에서 벗어난다고 본다. 약간 미심쩍어 하면서 그래도 끝까지 읽었으나, 그렇다고 그들의 예술론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고 있느냐 하면 그렇지도 않다. 저자는 두 사상가의 생각을 그저 이런저런 예술작품들 - 그것도 대부분 이미 회자된 - 에 기대어 설명하고자 했을 뿐이다. 따라서 데리다와 들뢰즈의 사상적 개요도, 그들의 예술론도 둘 다 모두 여기서는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2. 입문서에서는 사상가의 핵심적인 사상을 소개하기 위해서라도 원전(일차문헌)에 대한 인용이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 책에서 저자는 단 두 군데에서만 원전 인용을 했을 뿐이다. 또한 두 대가의 사상의 발전과정에서 중요한 저작들에 대한 맥락도 각 저작의 핵심내용에 대한 설명도 없다. 과연 저자가 이 두 대가의 원전들을 모두 꼼꼼히 읽었는지 의심조차 들었다.  

3. 두 대가의 사상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다른 사상가들에 대한 소개가 너무나도 산만하게 전개되고 있다. 가끔은 본말이 전도된 서술의 경향도 있을 뿐더러, <제한경제를 넘어선 차연의 경제학>이란 장에서는 이 책이 오히려 헤겔과 바타유를 소개하고 있는 느낌을 줄 정도로 정작 데리다에 대한 이야기는 이 장의 1/3을 넘지 못한다. 이러한 영향관계의 산만한 설명은 '에필로그 1'에 실린 <지식인 지도>를 마지막으로 놓고 봤을 때 분명하게 드러난다. 책을 다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데리다와 들뢰즈를 중심으로 한 15명의 지식인들의 영향관계를 난 도저히 복기(復棋)할 수 없었다.  

4. 저자가 가상으로 구성한 '대화'에는 데리다와 들뢰즈 말고도 건축가 피터 아이젠먼과 벤 판 베르컬이 등장한다. 이 대화는 데리다와 들뢰즈의 사상의 차이나 공통된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주로 건축과 관련된 이야기로 시종일관하다가 정신분석학에 대한 이야기를 한 후 급하게 마무리된다. 위에서 언급한 두 건축가나 현대 건축에 대한 이해 없이는 도대체 이들의 대화에서 무엇이 논점인지 알 수가 없다. 

5. '이슈'로 설정된 <과연 포스트모더니즘이 대세인가?>에서도 주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건축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 책은 현대건축에 대한 담론을 다루고 있는 것이 아니지 않는가! 물론 저자의 관심이 주로 이 분야에 있다고 하더라도 (저자 소개에 보면 현재 저자는 "건축 디자인의 방면에서 그 사회철학적 의미를 연구"하고 있다고 한다) '이슈'라는 항목이 무색할 만큼 도대체 무슨 이슈를 제기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 데리다와 들뢰즈에 대한 언급은 마지막 문단 딱 한 문단 뿐이다. 그리고 이것으로 '이슈'의 결말을 짓는다.

데리다와 들뢰즈에 대해서 그래도 어느 정도 귀동냥을 했던 독자라면 이 책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곤 너무다도 많이 들어 익숙한 몇몇 핵심개념들(차연, 파르마콘, 대리보충, 기계, 수목, 리좀)에 대한 다소 산만한 설명 외에는 거의 없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들의 설명을 위해 제시된 예시들도 별로 흥미롭지 못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