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나에게˝ 좋은 책 읽기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항상 어렵다. 다른 책을 살 일이 있어서 화제의 책 한강의 채식주의자도 같이 구매했고 한 번의 호흡으로 단숨에 읽었다.

흥미로운 사건 전개, 몰입도 높은 구성, 세 시선 속에 드러나는 개성 넘치는 각각의 문장은 나 같은 소설 문외한이 봐도 훌륭한 것은 부정할 수 없었다.

다만 역시 나의 소설 독법이 1980년대에 머물렀기 때문인지, 나무가 되어 가는 대상에 대한 공감이 어려웠다는 것은 나에게는 훌륭한 책이 아닌 한 번쯤 읽을만한 문학상 수상작이 될 것 같다.

나에게 소설은 그럴 수도 있음에 대한 공감이 중요하고, 그럴 수도 있음이 현실적이거나 환상적인 방식(ex 눈 먼 자들의 도시)이 잘 드러날 때 훌륭하게 다가온다. 그래서인지 사실 취재 및 경험에서 직접적으로 도출되는 글들에 높은 점수를 주게 된다.

채식주의자의 경우 영혜가 느끼는 폭력에 대한 공감이 부족하지 않았지만, 이를 풀어가는 영혜를 둘러싼 은유가 공감이 가지 않았다. 왜 나무인가에 대해 계속 고민하지만 잘 모르겠다... 조금은 불친절한 메타포랄까?

되려 마지막의 인혜가 정신적으로 붕괴되는 것이 훨씬 더 인상적이었다.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읽는지 모르겠자만.

글구 해설... 해설을 한다는 평론가는 최소한 작가보단 친절해야 한다고 굳게 믿는다. 그런데 이 소설의 해설가는 자기 자신이 작가주의에 과하게 빠져 독자의 감상을 방해하는거 같다.

그래도 별 네개를 부여하는건 큰 문학상 받았는데, 나쁘게 주면 너무 소설 모르는 얼치기 국문과생 소리 들을까봐.

사실 별점이 뭔 의미인가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thika 2016-05-21 2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도 나무인지에 대해서는 좀 의문이 들었음. 우리 독서모임에서도 나온 질문이었는데.

ethika 2016-05-21 2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실 뒷부분에선 힘이 떨어진다는게 내 생각임 ㅎㅎㅎ
 
학벌사회 - 사회적 주체성에 대한 철학적 탐구
김상봉 지음 / 한길사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대학교 1학년에 접했던 인생의 책

학벌사회의 모습을 인간의 존재 양식에 대한 설명으로 철학적으로 풀이함과 동시에 학벌사회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한 책.

˝학벌 없는 사회˝라는 시민 단체가 있었는데 얼마 전에 그 단체 역시 자본의 굴레 속에 더이상 학벌 문제가 아니라, 자본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해체를 선언했단 기사를 봤다.
이런 저런 만감이 교차하는 기사였다.

대한민국에서 교육의 문제를 논하려면 자본의 얘기를 안할 수 없다. 단순 성과주의나 신분 상승에 대한 얘기를 넘어서(최근 로스쿨vs사시 문제로 교육 및 직업이 신분 상승의 사다리 역할 및 개룡남 얘기도 연관된다) 더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하지만 10년 전 <학벌사회>가 나에게 주었던 충격적인 문제 설정과 철학적 분석의 틀은 지금도 유효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윈의 진화론 시각을 조금 더 대중적이고 세련되게 설명한 책.

아쉬운 점이 있다면 모계 중심에서 부계 중심으로 넘어가는 부분에 대한 설명이 없다는 것. 개입적으로 역사의 진행에서 농경 사회로 진행과 더불어 부계 사회의 정착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밝히는 것이 핵심 고리란 생각을 종종 했기 때문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