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카라마조프 가네 형제들>과의 만남
미국의 작가 마크 트웨인은 "A classic is something that everybody wants to have read and nobody wants to read"라는 말을 했다. 나는 이러한 고전의 평가가 가장 잘 어울리는 작품을 말해 보라면 주저 없이 러시아 문학들을 꼽을 것이다. 나의 첫 러시아 문학과의 조우는 대학 학과에서 진행했던 문학학회의 첫 커리였던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이었다. 신입생 시절 책을 열심히 읽겠다는 생각 하나만으로 <죄와 벌>의 발제를 하겠다고 손을 들었었다. 도서관에 가서 <죄와 벌>을 찾았을 때, 방대한 분량과 등장 인물의 이름들을 보고 발제를 신청한 것을 깊이 후회했다. 이래서 마크 트웨인이 고전을 저렇게 평가했구나 싶기도 했다. 그러나 한 장 한 장 넘겨 가면서, 손에 땀을 쥐는 전개와 강렬한 심리 묘사는 다시금 '아 이래서 고전 고전 하는구나'라고 느끼며, 당시 열심히 읽던 니체의 사상과 연결해서 <죄와 벌>에 대해 발제를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후 학회에서 톨스토이의 <부활>과 <안나 까레니나>, 고골의 <뻬쩨부르그 이야기>, 체홉의 <갈매기> 등을 보면서 대학교 1학년을 러시아 문학과 술에 흠뻑 빠져 보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후 도스토예프스키의 최고봉이라고 알려진 <까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읽어야겠단 생각은 많았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항상 미루다가 2015년에 책을 샀었다. 그러나 직장인이라는 핑계로 미루고 미루다가 2018년에서야 독서 모임의 도서 목록으로 추천되면서 다시 읽게 되었다.
1. 인물의 개성과 ‘카라마조프가적’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은 방대한 분량에 비하면 친부 살해 사건을 중심으로 비교적 간단한 서사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간단한 서사 속에서도 “카라마조프가”에 속하는 다섯 명의 개성을 능숙하게 버무리면서 여느 복잡한 소설의 긴장감과 심오함을 소설에 담아 냈다.
나는 소설을 읽는 행위를 ‘서사와 감정의 줄타기’로 이해한다. 다양한 소설들을 조금 거칠게 분류하면 서사가 강한(사건과 대화의 역동적인 흐름 정도로 이해하자) 소설과 치밀한 사상과 감정의 묘사가 중심이 되는 소설이 있다. 예를 들면 조정래 선생님의 대하소설은 책에서 손을 놓을 수 없는 강한 서사 줄기 속에서 대한민국의 역사를 읽어 가고, 그 속에서 사람의 심리와 감정을 공유한다. 반면에 알베르 까뮈의 <이방인>을 보면 주인공의 심리 속에서 독자는 서사의 방향을 찾아가야 한다.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은 서사나 줄거리의 흐름에서 오는 긴장감 보다는 극한 상황에서의 사상과 관념이 갈등이 주가 되는 소설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사상과 관념의 갈등을 이끌어 가는 장치는 카라마조프 가네 형제들이 갖고 있는 인물적 특성이다. 세속적 욕망과 본능에 충실한 장남 드미트리, 서구의 합리주의와 무신론을 대변하는 차남 이반, 종교적이고 신앙적이며 작품에서 가장 긍정적으로 묘사되고 있는 삼남 알료샤, 그들 모두의 성격과 사상을 조금씩 공유하고 있는 것 같은 사생아인 스메르쟈코프까지 강한 개성으로 뭉쳐진 캐릭터이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인물들은 최근에 읽은 톨스토이의 인물과는 다르게 만들어진 것 같다. 톨스토이의 인물은 현실에서 쉽게 접할 수 있을 것 같은 자연스러운 인물의 심리를 깊게 묘사한다면, 도스토예프스키의 인물은 소설에서만 볼 수 있을 것 같은 인위적이면서도 강력한 개성을 갖고 있다. 소설 속에서 이 강한 개성들이 부딪히면서, 그 개성들이 우리 사회에 내재해 있는 다양한 인간 군상들을 집약해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카라마조프 가네 형제들>에서 각 인물들은 그 사회에 내재한 다양한 사상과 관념들의 총집합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서 그들 모두가 러시아인이며, 도스토예프스키는 그 러시아적인 모습을 “카라마조프가적”인 것으로 지속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차남 이반과 삼남 알료샤가 나누는 대화의 절정이라고 할 수 있는, “대심문관” 편에서 러시아의 미래에 대한 작가의 고민은 “러시아의 젊은 세대”가 갖고 있는 영원에 대한 물음에 대한 대답으로 묘사되고 있다. 즉, 도스토예프스키는 <카라마조프 가네 형제들>을 통해서 러시아 사회를 끊임 없이 조망하고 있는 것이다.
2. <카라마조프 가네 형제들>과 현대 사회, 그리고 나
<카라마조프 가네 형제들>의 얘기가 러시아 사회의 단면만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지금과 같은 찬사를 받고 있진 않을 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는 러시아를 이야기하면서 그와 동시에 인간 전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에 최고의 소설이란 평가를 받고 있을 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가 <카라마조프 가네 형제들>에서 설정한 주요 인물 사이의 갈등은 21세기가 된 지금에도 의미가 있다. 왜냐면 카라마조프가의 다섯 남자들(스메르쟈코프를 포함)의 합집합은 감히 인류 전체를 표현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나에게 삼형제 중 가장 매력적인 인물을 꼽으라면 차남인 이반 카라마조프를 선택할 것이다. 개인적으로 무신론자이자 합리주의적인 인물임을 자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가 이해하는 이반이 아무리 매력적이라고 하더라도 현대 사회에 내재한 갈등을 풀어내는 데에 이반의 방식이 옳다고 단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현대 사회는 20세기에 세계 대전과 수 많은 갈등을 거치면서 서구 합리주의에 대한 회의를 느껴본 경험도 있으며, 21세기에는 훨씬 더 복잡한 행태의 갈등이 서구 합리주의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 뿐만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정치적 옳바름(Political Correctness)에 대한 갈등이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다. 각종 이슈에 대해서 합리적이라 생각되는문제의 해결과 인간으로서 바람직하다고 느끼는 방식에서 많은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의 양상들이 마치 알료샤와 이반의 대화와 비슷하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다. 최근 한국에서도 제주도에 들어온 예멘 난민들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서, 알료샤와 같은 신성으로 인간의 삶을 사랑해야 하기 때문에 그들을 돌봐야 한다는 입장과, 현실적인 이유를 통해서 그들을 외면해야 한다는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이반은 소설 속에서 정신적으로 크게 흔들리면서도 자신의 합리주의와 무신론을 "대심문관"을 통해 멋지게 독자들에게 설파했다. 나 역시불완전 하면서도 평소 나와 비슷한 생각을 갖춘 이반의 모습에 매력을 느꼈다. 그러나 최근의 정치적 옳바름에 관한 사회 갈등 구조를 살펴 보면 난 언제나 알료샤의 입장이었던 것 같기도 하다. 사회적으로 진보적인 가치를 지양하면서도 합리성 보다는 가슴 뜨거움을 먼저 떠올려야 한다고 굳게 믿기 때문이었다.
소설에서 보여주는 인간의 양면성이 소설을 읽는 나에게서도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혼란스럽고 고민하기 때문에 인간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사실 알료샤는 너무 인간 같지가 않아서 이반에게 훨씬 더 매력을 느겼는지도 모르겠다. 키릴로비치 검사가 이야기하는 러시아인 심리의 극단적인 모순과 서로 다른 두 심연이 나에게도 존재하고 잇으며, 나 역시 "카라마조프가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이 시대의 "카라마조프 가네 형제들"의 일부인 것이다.
3. 나가며
이 소설은 1600쪽 이상(민음사 기준)의 방대한 분량으로 책에 대해서 얘기하자면 며칠 밤을 새워서 이야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종교에 대한 이야기라든지, 마지막 재판 과정에서의 논리 구성이라든지, 또는 인간의 죄의식이라든지...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수 많은 질문을 던지고 거기에 대한 대답을 조금씩이나마 주고 있는 <카라마조프 가네 형제들>을 2018년에 이르러서야 완독하게 된 것은 참으로 행운이 아닐 수 없다. 서두에서 얘기했듯이 고전이란 쉽게 다가가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라마조프 가네 형제들>을 통해서 다시금 새로운 고전에 도전하겠다는 의욕이 충만하고 있는 것은 이 책을 읽은 또 하나의 소득이라면 소득일 것이다. 이 책을 함께 읽는데 도움을 준 독서 모임 구성원들에게 많은 고마움도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