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정석 : 중.고입편 - 교육분야 국내 최고 애널리스트의 특목고 입시전략 분석보고서 2015 교육의 정석
김미연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4년 7월
평점 :
품절


 

 

교육분야 국내 최고 애널리스트의 입시전략 분석보고서 2014 교육의 정석 (중,고입편)

 

 

 

 

 

교육분야 국내 최고 애널리스트의 입시전략 분석보고서 2014 교육의 정석 (중,고입편)

김미연 지음

한국경제신문 펴냄

 

 

교육분야 국내 최고 애널리스트..김미연 선생님을 전 직접 만나 뵈었답니다.

저희 동네 구민회관에서 모 영어학원 설명회때 오셔서 2부를 뜨겁게 달궈 주셨는데요

그때 해주신 말씀이 가슴에 팍팍 와 닿아서..한동안 자리를 뜨지 못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교육의 정석이라는 책이 나오고 도대체 어떤 책일까 너무나 궁금했습니다..

초등학교부터 내 아이를 위한 진로교육의 모든걸 준비하라고 하시는데요

도대체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막막하더라구요..

 

이 책을 통해 외고, 과고, 과학영재고, 자사고 전형을 분석해보고

다양한 경험을 들어보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입시정책에 혼란스러운 학부모님들께 보내주신 편지는

정말 저의 마음을 그대로 들키는 듯 했습니다

그 이야기는 저 뿐만 아니라 아이들을 키우고 있는 모든 학부모님들이 다 저와 같은 마음일거라는

생각이 들면서 얼른 책을 읽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입시 정보력 테스트..

한번 해보시겠어요?

 

당신의 자녀, 외고,과학고, 자사고에 합격시킬 수 있습니까?

 

저도 한번 풀어보았는데요..그래도 나름 정보가 많다고 생각했는데...헷갈리는 부분도 있더라구요..

 

 

 

 

학원 입시 설명회를 가도 그렇고..늘 하는 말이 명문대 진학에 여전히 외고,과학고,전국단위 자사고가 강자라고 하네요..

왜 수시모집에서 특목고 출신 수험생의 합격 비율이 두드러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주요 대학의 수시모집 전형 비중이 전체 4년제 대학 평균보다 월등히 높고, 수시전형에서 논술과 구술의 난이도가 높으며

토익 같은 공인어학시험 성적등을 반영하는 특기자 전형 비중이 높다는 점이 특목고 출신 수험생에게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수시 일반전형으로 서울대에 입학하고자 하는 학생은 본고사 수준의 면접과 구슬에 대한 대비를 충분히 해야 하고

1단계 서류평가를 통과하기 위해 자기소개서는 물론이고 학업계획서 등도 철저히 준비해야 합니다.

 

 

 

 

일반고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수시 학생부 교과전형은 학력특구가 아니라도, 특목고가 아니라도

교과 성적을 기준으로 학교별 소속 고등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자를 서울대는 2명 이내, 고려대는 4명이내로

한정하고 있고 연세대는 추천장이 없을때 유리합니다.

 

 

 

 

2014학년도 서울대학교 입시에서 과학영재고등학교와 과학고등학교의 선전은 놀랍습니다.

서울대 진학실적 상위 고교에서 서울과학영재학교는 92명의 합격생을 배출하였고 대원외고, 외대부고에 이어

3위를 기록하며 놀라움을 일으켰고 2014학년도 서울대 합격자 수 상위 15위 학교 중 과학영재고, 과학고가

6개 고교나 차지할 정도로 과학영재고와 과학고의 명문대 진학실적은 우수합니다.

 

 

 

 

이 책을 통해 다양한 학교 소식을 알수 있었는데요

전국 외국어고 및 국제고 현황을 보니..제가 얼마나 우물안 개구리로 살았나 알수 있었습니다.

 

 

 

점점 사교육 시장이 변화하고 있는 걸 느낀다고 말하는데요..

저도 이 부분에 공감합니다.. 점점 더 아이들 숫자가 줄어들고 가구당 월간 사교육비 지출액이 줄어들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 입시전형이 다양화 되어서 다양한 방법으로 합격하려고 하다보니 꼭 사교육에 모든걸 거는 시대가 변한듯 합니다.

 

그외 다양한 정보가 가득한데요 직접 읽어보시면 아마 감이 오실겁니다..

저도 2~3번에서 계속 읽어보고 제가 그 걸 완벽히 알때까지 다시 읽어보려고 합니다.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 엄마가 더 현명해지고 똑똑해 져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