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사 콘서트 - 29개 테마로 한눈에 보는 우리 역사!
백유선 지음 / 두리미디어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한국사 콘서트를 읽고 그동안에 역사에 대하여 모르던 내용을 알수 있었고, 또한 알고 있었던 내용에 대한 잘 못된 점과 어떻게
지금 까지 그렇게 알수 있었냐하는 이유를 알수 있었던 좋은 계기가 된것 같네요..
29가지의 우리가 흔히 접해본 테마를 선택하여 그에 대한 내용과
간략한 내용설명과 유래와 작가의 견해를 통해서 각테마의 정보와 새로운 견해를 접하면서 읽어볼 책을 추가로 설명하여 차후에 각 테마에 대하여 더 자세히 알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동시에
상식바로잡기란 코너를 통하여 잘 못알고 있던 내용의 수정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잘 설명하여 깔끔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책인것 같네요..
'이땅의 첫 사람들을 찾아서'라는 테마를 시작으로 짧은 해방 긴대립, 분단은 어떻게 시작되었나'까지의 29가지의 테마로 전반적인 한국사를 되새겨 볼수 있는 좋은 기회인것 같네요..
많은 테마가 있었지만 그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고구려 주몽에 관한 이야기가 잘 못되었다는 것을 알수가 있었네요..
우리나라의 고대역사를 서술함에 있어서 중국의 역사서를 많이 인용한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무분별하고 검증되지 않은 사실을 잘못사용하고 있으면서도 알지못하고 있는 현실이 안탁깝네요..
그 예로 '주몽'은 중국의 발음상으로 표기하다 보니 원래는 '추모'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데 유사 발음으로 표기하면서 의도적으로 좋지않은 글자를 선택하여 '주몽'으로 표기하였는데 그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잘 못됬다는 것을 알수 있었네요..
또한 이책을 통하여 문화컨텐츠의 역활도 중요하다는것을 알수 있었는데요.. 예전에 주몽이라는 드라마에서 삼족오를 고구려의
표식인양 사용하고 저또한 예전에 고구려의 무덤에서 삼족오가 발견되어 삼족오가 고구려의 고유한 문양인줄 알았는데 이책을
통하여 삼족오는 예전부터 중국에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고구려에서는 삼족오만 사용되는것이 아니고 항상 다른 문양과 같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수 있었네요..
많은 역사적 고증과 검증을 거쳐 올바른 우리 한국사를 확립하고
유지해나가야 한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던 책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