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신의 오후]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독신의 오후 - 남자, 나이듦에 대하여
우에노 지즈코 지음, 오경순 옮김 / 현실문화 / 2014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한 때 독신주의자였다. 아마도 20대 초반까지 그러했던 것 같은데, 어렸을 때부터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았고 그 시간에 책과 음악을 포함한 문화적 유희를 즐겨왔던 터라 혼자만의 삶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여지가 많았다. 그렇다고 히키코모리로 살아왔던 것도, 그렇게 살 생각은 없지만 분명히 내겐 문화적으로 투자하고 집중해야 할 시간이 필요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생각했다. ‘아이는 축복이다’라는 생각이 생기기 이전까지는. 주변인들이 하나하나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으면서 자연스레 조카들이 생겨났는데 아이는 정말 존재 자체가 축복인 미지의 생물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 어두컴컴한 세상에서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존귀한 행위를 통해 그런 축복을 잉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면서부터는 독신주의에 대한 꿈을 접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물론 결혼을 하고 싶다고 해서 할 수 있는 땅이 아니다 한국은. 남자들의 결혼적령기는 점점 더 늦어지고 있고, 결혼은 이제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현실이 독신을 강요하는 세상이 되어가고 있다. 그런 시대적 흐름에 맞춰 <독신의 오후>는 시기적으로 꽤 흥미로운 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박노자의 책을 보며 한국인들이 통쾌해하는 지점은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습속들을 3자적 입장에서 서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끼리 모여 있으면 할 수 없던 피드백을 3자적 시선이 따끔하게 지적해주는 것이다. 외국에서 생활해왔던 진중권이나 홍세화 같은 저자들의 책도 마찬가지다. 우린 3자적 시선, 즉 내가 속해있는 집단과 다른 이의 시선이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독신의 오후>의 텍스트들은 충분히 약이 될 수 있다. 저자인 우에노 지즈코는 여성이고 고로 이 책은 여성의 시선으로 바라본 독신 남성의 모습, 그리고 그 모습에 따른 조언이라고 할 수 있다. “여성의 시선으로 바라본 독신 남성이라니 으아 찌질해” 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겠지만 걱정하지 말자. 우려와 달리 아름다운 모습이 있다. 아니 아름다워질 수 있다.
꽤 많은 조언들이 숨어있지만 그 속에 관통하는 메시지는 ‘내려놓음’ 같은 것이 아닌가 싶다. 불교적 상념 같은 것이 아니라 예컨대 나이에 걸맞게 치솟는 우리의 권위(쉬운 말로 꼰대성이라고 한다), 혹은 대인관계에서의 권력 같은 것을 경계하고 내려놓는 순간 그는 자유로워지고 아름다워질 수 있다.
아직은 두세 번 곱씹을 만큼 인상적인 책은 아니었지만 내가 좀 더 나이가 들고 이 책의 소제목처럼 ‘남자, 나이듦에 대하여’를 생각할 시기가 찾아올 때, 그 땐 이 책을 한 번 더 펼쳐볼 것만 같다. 약간은 고정적인 젠더에 대한 관념이나 나와 전혀 관련이 없어보이는 사례들의 기술은 이 책의 흠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서재 언저리에서 내 선택을 기다릴만한 책은 되는 것 같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