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인슈타인의 꿈
앨런 라이트맨 지음, 권루시안 옮김 / 다산책방 / 2025년 4월
평점 :
우리는 흔히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다’는 말을 한다.
시계는 누구 앞에서도 똑같은 속도로 째깍거리고,
해는 같은 속도로 떠오르고 진다.
하지만 과연 우리가 느끼는 시간도 똑같이 흐를까?

『아인슈타인의 꿈』(앨런 라이트먼 지음, 다산책방)은
이 단순한 질문에서 출발해 독자들을
상상력의 끝자락으로 이끈다.
과학자이자 소설가인 저자는 시간의 개념을
철학적이면서도 문학적으로 풀어내며,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시간의 절대성을 낯설게 바라보게 만든다.
시간은 하나가 아니다
이 책의 핵심 메시지 중 하나는
"이 세계에는 두 가지 시간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하나는 기계 시간, 즉 시계의 초침처럼 정해진 리듬을
따라 움직이는 객관적인 시간이고,
다른 하나는 체감 시간, 즉 인간의 감각과 감정에 따라
유동적으로 느껴지는 주관적인 시간이다.
전자는 변하지 않지만, 후자는 전갱이처럼
꿈틀거리고 요동친다.
우리는 모두 이 두 시간 사이를 오가며 살아간다.
특히 나이 든 이들의 "시간이 너무 빠르다"는 말은
단순한 감상이 아니라 체감 시간의 진실을 말해준다.
뒤를 돌아보면 훌쩍 지나간 시간처럼 느껴지지만,
앞을 바라보는 순간에는 또렷이 흐른다.
이는 시간이 단지 ‘흐름’이 아니라
‘느낌’이라는 점을 일깨운다.
앨런 라이트먼은 시간의 이런 이중성에 주목하며,
그것을 30개의 짧은 꿈으로 구성된
우화 형태로 풀어낸다.
만약, 시간의 법칙이 다르다면
이 책의 백미는 시간의 다양한 작동 방식에 대한
가상의 세계들이다. 하루만 사는 세계, 시간이 거꾸로
흐르는 세계, 시간이 멈추는 세계, 시간이 무한히
주어진 세계 등 각각의 장마다 저자의 상상력이 빛난다.
특히 "영원히 사는 세계"에서 나오는 ‘지금족’과
‘나중족’의 개념은 무척 흥미롭다.
영원한 삶을 부여받은 사람들은 두 갈래로 나뉜다.
지금 모든 것을 다 해보겠다는 ‘지금족’과,
시간이 많으니 뭐든 나중에 하자는 ‘나중족’.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 두 부류는
결국 같은 문제에 봉착한다. 삶에 끝이 없기에,
사람들은 무한한 선택지 속에서 방향을 잃고 만다.
이는 ‘죽음’이라는 유한성이 삶의 동력을 만들어낸다는
역설적인 통찰을 제공한다.
시간을 다시 느끼게 만드는 책
『아인슈타인의 꿈』은 한 문장 한 문장을
곱씹으며 읽게 되는 책이다.
삶이 빠르게 흘러가는 이 시대에,
"시간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각자의 삶의 속도를 돌아보게 만든다.
시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
우리가 그 시간을 어떻게 느끼고, 어떻게 살아내느냐다.
이 책을 덮는 순간, 시간은 여전히 흐르고 있지만,
그 흐름은 더 이상 예전과 같지 않다.
어쩌면 우리가 그토록 찾고 있던
‘지금 이 순간을 살아내는 방법’은,
바로 이 책 속 상상과 사유의 조각들 속에
이미 들어 있었는지도 모른다.